"트럼프 관세폭탄, 시진핑 도와주는 것"…美 언론 "한국 반미정서 커질것"

2025-04-06

미국의 전세계를 향한 '관세전쟁'이 결국 중국의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그간 미국이 주도해온 세계 경제 질서가 여러 면에서 변화에 직면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승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미국 관세가 시진핑의 날을 만들었다'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전쟁이 시 주석에게 전략적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WSJ은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경제적, 전략적 블록으로 묶어 중국을 견제하도록 해온 경제적 끈을 끊어버렸다고 지적했다. 결국 미국으로부터 고율의 관세를 얻어맞은 국가들이 중국을 대안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과의 교역 확대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베트남과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들이 모두 고율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 아시아에서 미국의 중요한 파트너인 일본과 한국에도 각각 24%와 25%의 관세가 부과됐다.

WSJ은 일본과 한국에는 반미주의가 여전히 정치적 동력으로 남아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보로 반미정서가 더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유럽에도 마찬가지라고 WSJ은 짚었다. 유럽연합 27개국과 미국과 특별한 관계인 영국도 관세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유럽의 경제적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년간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런 노력이 마침내 결실을 보려 하는 때에 관세전쟁이 터졌고, 유럽과 중국의 교역 증가는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WSJ은 전망했다.

반면 시 주석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서방의 분열을 확인하게 됐다고도 짚었다. WSJ은 또 이번 무역전쟁에서 미국이 쉽게 승리하리라고 단정해서도 안 된다고도 꼬집었다. 중국은 이미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에 들어갔고 프랑스도 자국 기업에 대미 투자 중단을 요청하는 등 각국이 대응에 들어갔다는 이유에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