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이 자국산 인공지능(AI) 모델과 첨단 반도체를 결합해 군(軍) 현대화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처럼 미래전(戰)의 판도를 바꾸기 위한 중국 민·관·군의 혼연일치된 행보는 군과 정부 기관 내 다양한 입찰 기록물과 특허 출연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고 27일 로이터가 짚었다
중국 국영 방산 대기업 노린코는 지난 2월 시속 50km로 자율 작전 수행이 가능한 토종 AI 모델 딥시크(DeepSeek) 탑재 군용 차량을 선보였다.
이는 자체 AI와 칩으로 무장한 중국이 미래전을 위한 역량 강화로 나아가는 움직임의 상징적 사례에 해당한다고 로이터는 평했다.
인민군 내 변화의 흐름은 이 정도로 그치지 않는다. 로이터가 수백 건에 달하는 연구 논문과 특허, 정부 조달 기록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중국의 독자적 AI와 반도체 공급망을 활용한 미래 군사 전략 강화 행보는 가히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
이런 기술적 진보는 인민해방군의 핵심 작전 수행 능력이 실질적으로 향상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중국의 군사 AI 혁신을 가로막기 위한 미국의 견제와 통제는 올 들어 한층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 공급을 옥죄고 동맹국들의 동참도 독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인민군 및 관련 연구소에서는 여전히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이 어둠의 경로를 타고 유입돼 연구 개발에 활용중이다. 나아가 화웨이를 비롯한 국산 고성능 칩의 개발과 그에 바탕한 AI 시스템 도입은 더 빨라지고 있다.
미 워싱턴에 소재한 싱크탱크 제임스타운재단의 분석에 따르면, 인민군의 올해 입찰은 화웨이 칩 등 중국 내 독자 하드웨어 사용을 내건 업체와 상당수 체결됐다. 토종 기술을 채택한 현지 기업과 중국 국방부의 납품 계약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이는 'AI 및 알고리즘 주권'과 기술 자립을 추구하는 당 지도부의 군 현대화 방향과 맞물린다.
군의 핵심 디지털 인프라에서 서방 기술 의존을 줄이고 내부 통제와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인민군의 행보는 트럼프 2.0 출범 이후 더 강화하고 있다. 지정학적 긴장이 전 지구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현상과도 궤를 같이 한다.
정부 주도의 민군기술융합 정책 하에서 실제 군사용 로봇견과 AI 탑재 드론, 실시간 워게임 시뮬레이션 등 첨단 무인·자율 시스템의 현장 배치도 늘고 있다.
시안 과학기술대 연구팀에 따르면, 딥시크 모델을 활용한 전장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변수와 지형, 병력 조합을 갖춘 1만가지 가상전쟁 시나리오를 48초 만에 분석해낼 수 있다. 과거 인민군 작전지휘부가 48시간 걸려 완수했던 작업임을 감안하면 그 효과는 압도적이다.
중국의 AI 드론 편대 운용 기술도 진화를 거듭하는 중이다. 드론과 AI 기술의 결합은 표적 인지와 추적 등에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한지 오래다.
로이터는 중국의 토종 AI 모델과 반도체 독자 생태계에 바탕한 군사력 현대화는 미국의 다양한 억지 노력에도 더 빨라지는 추세라며 이는 동아시아 안보와 군비경쟁에도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고 덧붙였다.

osy75@newspim.com
![K-방산, 이렇게까지 왔다…아덱스에서 공개된 ‘게임체인저 무기’ 총정리 [박수찬의 軍]](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514272.jpg)

![AI에 다 건 中, 12년간 원전 5배 늘렸다…한국은 갈팡질팡 [창간 60년-中혁신 리포트]](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fbd6a5b9-0190-4d48-bc78-add2d1118bba.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