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전공의 복귀를 앞두고, 그동안 전공의 공백을 메워온 진료지원(PA) 간호사와 '역할 갈등' 우려가 떠오르고 있다. 전공의들이 없는 지난 1년 반 동안 PA가 사실상 대체 인력으로 자리잡은 만큼, 복귀 이후 업무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PA 업무범위를 규정하는 '진료지원업무 수행 규칙안'과 관련해 각계 의견을 수렴 중이다. 간호법은 지난 6월 21일 시행됐는데, 아직 진료지원업무규칙은 확정되지 않았다. 이 규칙이 확정돼야 입법예고, 규제심사 등을 거쳐 시행된다.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9~10월 복귀 시점에 맞춰 제도화를 완료하기는 빠듯해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공의와 PA 간호사 간 업무는 병원에서 현안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규칙은 현재 의견 수렴 중”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파업 기간 동안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주요 대학병원들은 진료 공백을 막기 위해 PA를 수백명씩 채용하며 전면 배치했다. 이 과정에서 수술 보조, 환자 처치, 의무기록 작성 등 전공의 업무 상당 부분을 PA가 수행했다. 응급실·중환자실 등 고난도 진료 현장에서 전공의가 담당하던 업무를 대체하며 경험을 쌓고 현장 숙련도를 높였다. 새로 복귀하는 전공의들이 실무는 오히려 PA에게 배워야 하는 역전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이미 대학병원은 90% 이상 이전 기능을 회복했는데, 이는 PA들의 역할이 컸다”면서 “전공의들이 돌아오면 PA에게 일정 부분 실무를 배워야 할 수 있는데, 분명 갈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애매하게 겹치는 업무 범위는 수술방 배치, 환자 처치 등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병원들도 고민이 깊다. 당장 PA를 줄이면 진료 공백이 불가피하고, 전공의가 얼마나 돌아올지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일부 병원에선 전공의 복귀 시 PA와 업무 분담 방안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간호협회는 정부 지침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간호협회 관계자는 “정부 가이드라인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공식적 입장을 밝히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