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공조 움직임에 비난 반발
李대통령에 "서울 위정자 추태"
야당 대표시절 반일 언급 지적하며
"워싱턴의 오해 덜려는 불안심리"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은 한일 정상이 지난 23일 도쿄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일관계 발전과 한미일 협력 강화에 합의한 것과 관련해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구조와 기능이 더욱 제고될 것이며 그로 하여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 지역정세에 엄중한 영향이 미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북한은 25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번에 양국이 '북의 완전한 비핵화'와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운운하며 미일한 공조를 바탕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다, 세계적 범위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떠들어댔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중앙통신은 또 "이는 조선반도와 그 주변지역에서의 패권 장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미국의 인디아태평양 전략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입장의 표명으로서 미구에 도래하게 될 보다 파국적인 안보환경을 예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비난입장은 '김혁남'이란 정체불명의 인물을 내세워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 위정자의 추태'란 글을 관영 선전매체에 싣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중앙통신은 "주목되는 것은 한국 집권자가 흔들림 없는 한일, 한미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한일관계 발전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어가기로 하였다면서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를 잊지 않은 것"이라며 "이번 한일 수뇌회담은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촌극이라고 평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원래 한국집권자의 일본행각은 집권하면 미국부터 먼저 찾곤하던 한국 외교사의 관례를 거스른 것으로 하여 시작 전부터 여론의 주의를 끌었다"며 "친미 사대외교의 전통까지 무시한 듯한 이번 도쿄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있다"고 비방했다.
통신은 이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에 대일 강경발언을 한 점을 지적한 뒤 "문제는 앞으로 친일신조를 행동적으로 증명하려는 이 서울 위정자의 과잉욕구가 지역의 안보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것이라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통신은 "현실은 미국상전의 눈에 들기 위해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서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거래 흥정물로 내들고 있는 한국집권자의 추악한 대결정체를 적나라하게 조명하고 있다"며 "우리는 패권 지향적인 미국과 그 추종자들에 의해 벌어지고 있는 우려스러운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한일 및 한미일 정상회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관련 합의 내용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공세 수위를 인신공격 차원으로까지 끌어 올리려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고 말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