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홈플러스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두 회사는 정상화 의지 없이 먹튀를 노리고 뛰어든 기업”이라며 회생계획서 인가 전 인수합병(M&A)를 연기하고 인수자 공개모집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홈플러스 태스크포스(TF)는 5일 서울회생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의 진정한 회생이 아닌 ‘제2의 MBK 사태’로 되풀이될 위험이 매우 크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두 기업에 대해 “첫 번째 인수 주체는 유통업 경험이 전무한 부동산 전문회사로 부동산 가치 상승과 매각 차익만을 노리는 형태의 기업”이라며 “두 번째 인수 주체는 실질적으로 또 다른 사모펀드가 차입을 통해 회사를 사들이는 구조, 즉 전형적인 레버리지드 바이아웃(LBO·차입금을 활용한 기업 인수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TF는 “이런 방식으로는 결코 경영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며 “이들은 홈플러스의 회생을 이끌 주체가 아니라 또 다른 MBK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TF는 회생절차를 담당하는 회생법원에 “졸속으로 인가하지 말고 인가 전 M&A 인수자 공개모집기간을 연장하라”며 “시간을 조금 더 들이더라도 실질적 자본력과 유통산업 경영 역량을 갖춘 기업을 인수주체로 선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수심사 과정에서 노동조합, 입점·협력업체, 전단채피해자 등 이해관계인의 공식 의견 청취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TF는 “현 인수 구조로 회생이 불가능하다면 현실적인 대안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회생절차 과정에서 부실채권을 정리하기 위해 연합자산관리회사(유암코)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구조조정 전문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역시 방관해서는 아 된다”며 “구조조정 기관의 역할을 지원하고 채권정리·고용승계·입점업체 보호 등 핵심 과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홈플러스의 회생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노동자 2만 명의 고용 승계 △입점 중소상공인들의 영업승계 보장 및 협력업체 거래선 유지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에 대한 피해구제를 요구했다. 민주당 TF는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해서도 “인수 이후 10년 간 부동산 매각과 고배당으로 수익을 챙겼지만 기업이 위기에 빠지자 회생절차 뒤에 숨으며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며 “홈플러스가 투기자본의 실험장이 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美증시 특징주] 테슬라 급락...노르웨이 국부펀드 일론 머스크 1조달러 보상안 반대](https://image.mediapen.com/news/202511/news_1055186_1762287222_m.jpg)

![금감원, EB 발행 기준 강화에도 자사주 활용 치열한 ‘눈치 싸움’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MIWIQ3_1.jpg)

![얼라인 "스틱인베, 14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및 소각 계획 밝혀라"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3QC6J2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