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에 생산 설비를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를 이행하는 기업은 반도체 관세 예외 대상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목표는 최첨단 반도체 제조를 미국에서 완료해 이를 가장 잘 통제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의 (전날) 발언은 대통령 임기 중에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를 상무부에 신고한 뒤 건설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감독받을 경우 관세에서 면제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말은 ‘미국 내 공장 건립을 확인하면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미국에서 공장을 짓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장 건립 확인되면 관세 면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에 대해 품목별 관세 100%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약속하거나 진행 중인 경우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했었다. 반도체 관세 면제 대상이 미국 내 생산 물량에 한해서인지, 본국이나 제3국 생산분까지 포함하는지 여부는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그런데 러트닉 장관이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립 약속 및 이행이 확인되면 관세에서 면제될 수 있다고 좀 더 구체화한 것이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크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 달러(약 14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100%의 반도체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 반도체 기업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상황이다.
삼성·SK하이닉스, 美 공장 운영·건립중
그런데 러트닉 장관 설명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 반도체 공장 건립 이행이 확실하기 때문에 100%로 예고된 관세는 피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고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텍사스주 테일러에 제2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28년 양산을 목표로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잇에 38억7000만 달러(약 6조3700억 원)를 투자해 HBM(고대역폭 메모리) 패키징 생산기지를 건설 중이다.

러트닉 장관은 관세 압박을 통해 외국 반도체 기업의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는 정책으로 인해 미국에 유입될 반도체 공장 건설 투자가 1조 달러(약 1388조 원)에 달할 것이라며 “역사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만 반도체 업체) TSMC는 애리조나에 2000억 달러 투자를 발표했고 마이크론은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은 아이다호와 뉴욕에 20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는 엄청난 규모”라고 했다.
이날 0시(미 동부시간 기준)를 기해 발효된 각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로 미국이 거둬들일 수입 규모와 관련해 러트닉 장관은 매월 500억 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제 반도체가 들어오고 의약품이 들어오고 추가적인 관세 수입이 들어올 것”이라고 했다.
‘미·중 관세전쟁 휴전’ 연장 가능성
오는 11일 종료될 예정인 미ㆍ중 간 초고율 상호관세 유예 조치는 연장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러트닉 장관은 “그 결정은 무역 팀과 대통령이 맡을 것이지만 합의에 도달해 90일을 추가로 연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정부는 지난달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가진 무역 협상을 통해 초고율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하는 데 잠정적으로 합의했다. 중국 측은 유예 연장에 합의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을 기다린다고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최종 승인을 내리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