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벅스가 미국 14개 주에서 플라스틱 컵 대신 '컴포스터블 컵'을 도입했으나 소비자들의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18일(현지 시간) 폭스뉴스 비즈니스는 스타벅스가 이달 11일부터 캘리포니아, 워싱턴, 하와이 등 14개 주 매장에서 퇴비화가 가능한 특수 섬유 소재의 ‘컴포스터블 컵’을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스타벅스의 "회사의 지속 가능성 목표를 향한 또 다른 걸음"이라는 설명과 달리 소비자들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는 컴포스터블 컵에 대한 불만 사례가 다수 등장했다.
주요 불만 사항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불투명한 소재로 인해 소셜미디어용 '틱톡 음료' 촬영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틱톡 음료는 투명 플라스틱 컵에 담긴 음료를 과시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둘째는 컵과 뚜껑의 결함이다. 한 사용자는 "컵이 너무 불편하고 마시기 어색하다"고 지적했으며 또 다른 사용자는 뚜껑에서 음료가 새는 사진을 공유하며 "스타벅스, 대체 왜 이런 거야?"라고 비판했다.
셋째는 맛에 대한 우려다. 일부 소비자들은 종이 재질의 평평한 뚜껑에 입을 대면 커피에서 화학 물질 맛이 난다며 "플라스틱 뚜껑을 줄 때까지 마시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스타벅스는 불만이 있는 소비자들에게 개인용 재사용 컵을 지참하거나 매장 내 세라믹 머그잔이나 유리잔 사용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번 스타벅스의 친환경 행보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상반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0일 플라스틱 빨대 구매를 장려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해 2035년까지 정부 차원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구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를 뒤집었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데이터에 따르면 Z세대와 밀레니얼 소비자의 68%는 친환경 제품에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이 있지만 실제 사용 경험이 불편할 경우 구매 충성도가 4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ESG 경영은 필수지만 소비자 경험과 현실적 사용성을 간과해선 안 된다"라며 "친환경 전환은 기술적 완성도가 뒷받침되어야 지속 가능하다"고 조언한다.
스타벅스는 향후 컴포스터블 컵의 품질 개선을 통해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고 미국 전역으로 친환경 컵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