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기 4중전 15.5계획 비전 세계 깜놀
낯선 미래, 중국 5년내 큰일 낸다
기업도 국가도 품질 경영에 올인
'중국 속도' '중국 품질'로 급 전환
몸집만 큰 공룡, 스마트 공룡 변신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요즘 중국 전기차는 품질이 좋아졌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무척 쌉니다. 많은 사람들이 중고차 가격으로 새 차를 사는 기분이라고 말합니다.'
10월 초중순 추석 연휴를 맞아 중국 고향집에 다녀온 지인이 들려준 얘기다. 단순 가성비가 아니라 품질과 브랜드에 대한 구매자들의 만족도가 향상됐다고 한다. 중위권 소득층들을 만족시킬 만큼 품질이 뒷바침 되는 모델들인데, 이런 전기차가 놀랄 정도로 싼 값에 팔리고 있는 것이다. 기업간의 사활을 건 치열한 경쟁(内卷)과 기술 혁신이 자동차 판매 가격을 떨어뜨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치열한 경쟁으로 일부 기업들은 도산 위기에 처하는 부작용도 있지만 경쟁에서 살아남은 기업들은 다국적 기업으로 당당히 변신해 중국 안팎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리 자동차나 비야디(BYD) 같은 전기 자동차가 그런 기업들이다. 품질과 가격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단순 가성비가 아니라 가격이 싼 것은 물론 품질 까지 뛰어난 전기차가 늘어나는 것이다.

뉴스핌 기자는 9월 중순 중국 선발 전기차 기업중 하나인 지리(吉利)자동차 구이양(贵阳, 구이저우성 성도) 공장을 취재하며 중국 전기차 산업 생태계의 변화를 생생히 살펴봤다. 기자는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5년 전 장쑤성 난징시의 상하이자동차 공장 취재 때와 다른 점을 발견했는데, 눈에 띄는 것은 생산 보다 품질과 AI 신 기술및 신 성능을 유난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품질 개선 문제는 한 시각도 지체하지 말아야한다' '품질로 고객을 영원히 사로잡는다' 지리 전기차 구이양 공장 직원들은 생산라인에 이런 내용의 품질 경영 구호를 붙여놓고 작업을 하고 있었다. 완성차가 출고되는 최종 검사 플래폼 앞에는 '품질을 생명으로 여기고 사력을 다해 고품질을 추구한다'는 플랭카드도 걸려 있었다.
지리 자동차의 구이양 공장을 찾은 올해는 14.5 계획(14차5개년계획, 2021년~2025년)의 마지막해이고, 상하이 자동차 공장을 찾았던 건 약 5년전으로 14.5계획 시작의 해인 2021년이다. 불과 5년의 시간인데 공장 분위기가 크게 달라진 느낌이다.
코로나19로 혼란스러웠던 14.5계획 기간 중국 제조를 대표하는 '메이드인 차이나'와 중국 서비스 품질은 상전벽해 처럼 변했다. 중국은 14.5계획에서 제시한 품질 발전과 강국 건설 비전을 거의 목표 그대로 달성했다. 5년동안 중국 제조는 중국 창조로, '중국 속도'는 '중국 품질'로, 제품은 브랜드로 빠르게 전환됐다.
비야디와 지리 자동차, 상하이 자동차 등 중국 전기차들이 세계 시장을 휩쓸며 자동차 전통 강국들을 놀라게 한 것도 이 기간이다. 중국 정부는 14.5계획 기간 첨단 고효율의 '신품질 생산력'으로 성장 구조를 재편하는데 주력했다. 14.5계획에서 정부가 품질 강국을 선언하자 전국의 27만 9천 개 기업이 최고품질책임자(CCO)를 임명하면서 품질경영에 매진했다.
정부는 국가표준 정책으로 산업계의 품질 경영에 드라이브를 걸었다.14.5 계획 기간 단 5년만에 1만 3000개 국가 표준이 만들어지고 국가 표준 평균 개발주기도 36개월에서 16개월로 단축됐다. 일례로 신에너지 자동차 표준이 제정되면서 스마트 친환경 전기차 기술 발전이 가속화했다. 국가 표준은 품질 향상과 생산효율 제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


중국은 14.5계획을 성공리에 마무리하고 이제 15.5계획(15차5개년계획, 2026년~2030년) 돌입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10월 20일~23일 열리는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4차전체회의(4중전회)에서 '15.5계획 건의'를 심의 통과시킬 계획이다. 이후 15.5계획 문건은 2026년 3월 양회(정기국회)에서 심의 공표된다.
중국이 1년 넘게 준비(연구)해온 15.5계획 문건은 여전히 첨단 과기발전과 고품질 고효율 신품질 생산력 발전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목할 것은 15.5 계획 5년이 지난뒤 대륙에는 또다시 지금과 천양지차로 다른 중국이 세계 앞에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는 점이다.
기술제재 관세 압박 등 미국의 파상적인 공세도 쉽게 중국 추세를 꺽지 못하는 형국이다. 대외 요인에 아랑곳 않고 15.5계획 기간에도 중국은 경제의 질적 성장 전환을 가속화하고 5%(4.5%~5%)에 근접하는 성장 템포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렇게 해서 10년뒤 16.5계획 기간(2031년~2035년)의 마지막 해인 2035년 국가 GDP를 2020년의 두배로 늘릴 방침이다.
14.5계획(2021년~2025년) 당시 중국은 국가 중기비전으로 2035년 사회주의 현대화(초보 선진국) 기본 실현을 제시한 바 있는데, 현재의 성장 템포나 기업의 혁신및 기술 도약을 종합해 볼때 중국의 이런 양적 질적 성장 목표는 무리없이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학자들은 2035년에는 일인당 GDP도 3만달러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5.5계획 기간과 16.5계획이 종료되는 2035년 까지 10년 사이에 중국 대륙에선 몸집만 비대한 공룡이 자취를 감추고 대신 스마트 공룡이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당장 15.5 계획(2026년~2030년) 5년이 지나면 '중국 제조'가 속도에서 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과 품질 면에서도 글로벌 선진 제조의 선두대열에 진입할 것이란 예측도 미래가 아닌 현실 얘기가 되고 있다.
*** 중국 5개년 계획이란... 중국은 옛 소련의 도움을 받아 1953년 부터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에 대한 제 1차 5개년 계획(1.5계획)'을 추진해왔다. 대약진 실패 후와 문화대혁명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1963~1965년의 국민경제조정기를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연속해서 5개년 계획을 시행해왔다. 올해 2025년은 14.5 계획(2021년~2025년)의 마지막해다. 특히 14.5계획을 입안할때엔 중국이 고품질 발전과 함께 '2035년 국가 중기발전'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이 점이 주목된다. 중국은 14.5계획 기간부터 15.5계획 기간, 16.5계획 기간 까지 3개의 5개년 계획을 거쳐 2035년 '사회주의 현대화'를 기본 실현하겠다고 천명했다. 사회주의 현대화 기본실현은 초보 선진국 진입을 의미한다. 2035년에 가면 지구촌 선진국 인구가 14억명 늘어난다는 뜻이기도 하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