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 열 곳 중 여덟 곳은 재직자 대상 직무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산 부담과 적절한 교육 내용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국가 차원의 직무 교육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은 최근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화장품 등 바이오헬스 산업 315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이오헬스산업 재직자 교육 요구도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82.5%가 지난해 하반기 기준 재직자 직무교육을 실시하거나 실시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실시 계획이 없는 기업은 3년 연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화장품 세 분야 모두 재직자 현재업무 수행수준과 필요한 업무 수행수준 간 차이가 있다고 답한 점이 이유로 풀이된다. 직무교육 형태로는 내부 강사를 활용한 자체 교육이 많았다.
재직자 교육 훈련에 따른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는 응답자 25.7%가 예산부담을 꼽았다. 업무 공백과 적당한 교육 프로그램이 각각 20.1%, 19.2%로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영세한 기업이 많다 보니 자체적으로 재직자 교육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업 분야별로 살펴보면 제약바이오 분야와 화장품 분야는 국내 인허가 직무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았다. 두 분야 모두 3년 이내 경력자의 기본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의료기기는 품질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의료기기 분야는 3~5년 경력자의 심화 교육을 가장 필요로 했다.
조사에 참여한 제약바이오 업계 종사자는 “해외 인허가 같은 경우는 내용이 일반적인 수준이더라도 지속적으로 들으려는 편”이라면서 “교육에 다뤄지는 내용에 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심화된 문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반영하면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2023년 바이오헬스 인재 11만명 양성 계획을 발표했다. 생산·규제과학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한 K-NIBRT는 내년부터 한국형 바이오공정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아일랜드 국립 바이오프로세싱 훈련·연구기관(NIBRT)과 협약을 체결하고 동일한 교육을 제공한다. 충북 오송에 위치한 K-BIO 트레이닝 센터는 바이오의약품 배양·정제·품질관리 교육 인원을 연 250명에서 1200명 규모로 확대한다.
보건복지인재원 역시 이번 조사 결과를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에 반영해 교육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