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음식 소비가 한국인의 일상 속 K-푸드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가 발표한 2024년 잠재 방한 여행객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맛집 투어(15.7%)’로 집계됐다.
특히 과거 외국인 관광객은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 전통 메뉴를 주로 즐겼지만 최근에는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SNS와 온라인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2018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건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연평균 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외국인의 결제 건수 상위 업종은 카페(890만 건), 베이커리(300만 건), 햄버거(230만 건)로, 전년 대비 각각 29.5%, 36.2%, 38.2% 성장하며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햄버거의 경우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개가 국내 프랜차이즈였으며, 글로벌 브랜드도 한국 한정 메뉴와 특색 있는 매장을 선보이며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편의점 또한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여행 메뉴판’으로 진화하고 있다. 2025년 1월~7월 카드 결제 건수는 약 1300만 건으로 K-푸드 업종 중 가장 많았으며, 소셜미디어 분석에서도 편의점 관련 게시물의 40.1%가 음식과 연관됐다. 주요 키워드는 라면(14.1%), 커피(10.5%), 과자(7.0%)로, 외국인에게는 한국에서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한 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밖에도 국수·만두(55.2%), 감자탕(44.0%) 등이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떡·한과 같은 전통 간식은 SNS 확산과 함께 76.9% 성장했다. ‘꿀떡 시리얼’은 해외 SNS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국내 기업의 신제품 출시로 이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