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한준 사장이 31일 임기를 마치고 공식적으로 이임했다.
이 사장은 2022년 11월 11일 취임 당시, 임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빠져 있던 LH를 정상화하겠다는 책임감을 안고 출범했다.
취임 직후 인천 검단 아파트 주차장 붕괴 사고가 발생하자 직접 수습에 나서며 부실시공 근절과 전관 카르텔 해소를 위한 조직 쇄신에 착수했다. 이후 부동산 시장 안정과 건설위기 극복을 목표로 매입임대주택 확대, 3기 신도시 조성 가속화, 용적률 상향, 가처분 면적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통합 16년이 지나도록 남아 있던 토공·주공 출신 간 칸막이 문화와 ‘나눠먹기 인사’를 바로잡고 협업 중심의 조직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주력했다. 임대주택 평형 확대와 민간브랜드 도입을 통한 품질 고급화, 층간소음 저감형 장수명 주택 도입,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등 공공주택의 신뢰 회복에도 힘을 쏟았다.
이 같은 혁신의 결과, 3년 연속 D등급에 머물던 LH의 정부 경영평가 성적을 B등급(우수)으로 끌어올리며 SOC 공기업 중 1위의 성과를 거뒀다.
이 사장은 “국가와 국민, 기관의 발전만을 위해 일했다”며 “본의 아니게 서운하게 한 부분이 있었다면 너그러이 용서를 구한다”며 “이제는 자유롭고 편안한 마음으로 새로운 분야에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국정감사 종료 이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사장 선임을 비롯해 주요 공공기관장 인사가 잇따라 단행되면서, LH 수장 교체도 정부의 공공기관 인사 재편 흐름 속에 이뤄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 The Scene] 이억원 금융위원장 “회계투명성 위해 감사품질 높여야”](https://www.inthenews.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9064731049_c6f298.jpg)


![[정국진단] 황우여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해소는 긍정적…경제인들에 맡겨야"](https://img.newspim.com/news/2025/10/31/251031172619366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