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서학개미 픽' 코셉트 ②"한 질환만으로도 매출 배증, 80% 뛴다"

2025-10-22

레라코릴란트의 차별화 평가, 이유는

적응증 추가 확대 가능한 플랫폼 기술

"'30년 루싱 매출만 전체의 2배 가능"

월가 모두 매수의견, 80% 상승 상정

이 기사는 10월 22일 오후 4시1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학개미 픽' 코셉트 ①FDA 승인 2건 문턱왔다, 쓸어담은 이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백금 내성 난소암에서도 코르티솔과 수용체 결합이 문제다. 코르티솔이 암세포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결합하면 항세포사멸 유전자가 활성화돼 암세포가 항암제의 공격에도 죽지 않는다. 동시에 종양 성장 촉진 유전자와 면역 억제 유전자도 커져 암 진행을 가속한다. 백금 내성 난소암은 백금 계열 항암제 투여 후 6개월 내 재발한 경우를 말한다.

◆차별화 평가, 왜

레라코릴란트가 차별화됐다는 말이 나오는 것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만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떄문이다. 기존 약물은 코르티솔 생성 자체를 막거나 여러 호르몬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한다. 이런 까닭에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다. 현재 주력 제품인 코림이 다른 수용체도 모두 차단하는 약물이다.

하지만 레라코릴란트는 글루코코르티코이읃 수용체에만 결합해 다른 호르몬 수용체는 건드리지 않는다. 어떻게 보면 필요한 곳만 정확히 차단하는 '표적 치료'인 셈이다. 이런 선택성 덕분에 쿠싱증후군이나 난소암 관련 임상시험에서 특이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레라코릴란트의 특별함이 더 높게 평가되는 것은 단일 질환 치료제가 아니라 선택적 수용체 차단이라는 핵심 기술을 통해 여러 질환을 공략하는 플랫폼으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여러 적응증을 추가할 때마다 개발 비용 대비 매출 잠재력이 대폭 증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코셉트의 조셉 벨라노프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코르티솔은 신체 모든 장기에 작용하므로 그 효과를 조절하면 많은 질환에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여러 암이나 신경퇴행성 질환, 간질환, 대사 질환에 적용 가능하다고 본다.

◆기대 매출 규모는

당장 쿠싱증후군과 백금 내성 난소암용만으로도 기대되는 매출 효과는 상당하다. H.C웨인라이트에 따르면 레라코릴란트 승인 시 쿠싱증후군 관련 매출이 내년 1억7500만달러에서 2030년 8억2400억달러로 될 수 있다고 봤다. 회사의 올해 전체 예상 연간 매출액 8억5000만달러의 21%, 96%다.

난소암 시장에서의 매출 잠재력은 더 크게 평가된다. 파이퍼샌들러는 백금 내성 난소암 치료제로 레라코릴란트가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매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코셉트의 올해 전체 예상 연간 매출액의 118%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두 적응증 모두 시판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3상 시험에서 주요 측정 기준(쿠싱은 혈압 조절, 난소암은 무진행생존기간와 전체생존기간)을 모두 달성했고 안전성도 높다고 판단됐다.

또 쿠싱증후군용은 FDA와 유럽의약청(EMA) 모두에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난소암용은 EMA에서만 받았다. 물론 최종 승인 여부는 FDA의 종합 판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확신은 할 수 없다. 제조 시설 검증이나 임상 데이터의 세부 해석, 위험-편익 평가 등의 변수가 남았다.

◆"80% 상승 기대"

애널리스트들이 기대하는 주가 상승 잠재력 또한 상당하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담당 애널리스트 4명(최근 3개월 사이 의견 제시)이 향후 1년 안에 실현을 상정하고 제시한 목표가의 평균값은 135.33달러로 현재가 75.39달러 대비 80%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투자의견은 모두 매수다.

수치상에서 드러나는 밸류에이션 자체는 높은 편이다. 다만 코셉트가 코림을 매출원으로 삼는 상업화 단계 회사로 분류된다고 해도 여전히 매출의 상당액을 연구에 지출하는 의약품 개발사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회사의 주가수익배율(PER, 포워드) 자체는 76.5배다.

캐너코드제뉴이티의 에드워드 내시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25일 목표가 140달러 유지 의견을 밝히고 "코셉트가 릴라코릴란트로 주목할 만한 진전을 이뤘다"며 "규제 및 임상 분야 모두에서 개선을 보였다"고 주목했다. 이어 "[쿠싱증후군 치료용에 대해] FDA의 올해 말까지 결정이 예상된다"고 기대했다.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