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새 중심지 부상 평가
한국은 238명…니카라과 1명 ‘최소’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개최국을 제외하고 가장 큰 규모의 대표단을 파견한 나라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이 국가 주도로 재생에너지 산업을 키워 세계 기후위기 대응을 이끌어가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따르면 COP30에는 194개국 정부 지도자와 정부 관계자,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 총 5만6118명이 참석한다. 현장 참석자와 별도로 운영되는 ‘가상 참가자’로는 5141명이 등록했다. 가상 참가자는 공식 협상에는 참여하지 못하지만, 공개 세션을 시청하고 일부 부대행사에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정부 대표단과 준대표단을 합쳐 가장 규모가 큰 대표단을 꾸린 나라는 개최국 브라질로 3805명이 현장 참석자로 등록했다.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대표단은 중국으로 789명이 참석했다. 중국은 최근 탈화석연료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파리협정을 탈퇴하는 등 기후 대응에 역행하는 사이 중국이 기후위기 대응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에 이어 나이지리아(749명), 인도네시아(566명), 콩고민주공화국(556명), 프랑스(530명), 차드(528명), 호주(494명), 탄자니아(465명), 일본(461명) 순이었다. 한국 대표단은 238명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정부 측 인사 86명과 전남 및 여수시 등 준대표단 152명이 파견됐다. 그간 모든 COP 현장에 참여했던 미국은 이번엔 참석하지 않았다. COP30에 불참한 국가는 미국과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산마리노 등 4개 국가다.
가장 작은 규모의 대표단을 꾸린 국가는 니카라과로 1명이 참석했다. 이 밖에 북한과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슬로바키아 등 5개 국가는 2명을 보냈다.

![리처드 하스 “韓, 中 관련 모든 상황서 잠재적 역할 해야” [2025 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436fff4f-05a1-4031-8c5f-0f295eba1001.jpg)

![“AI가 재편하는 세계 질서, 한국 나아갈 길 찾는다” [2025 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93ed73aa-a510-4bf8-b2b6-e24aa98c9d70.jpg)
![“AI 경쟁력 3위권...AGI 경쟁 대비해야” 구혁채 과기정통부 차관 [2025중앙포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19e169a9-1a27-4366-9af7-c189f51a9ad9.jpg)
![[사설] 李대통령 중동·阿 순방, ‘글로벌 사우스’ 경제 영토 넓힐 기회로](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12E14P_1.jpg)
![정치 극단화로 각국 권위주의 회귀… “언론·사법 독립이 보루” [심층기획-위기의 민주주의, 미래를 묻다]](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2025111751619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