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처벌받아야 하는데 멀쩡히 부정선거 얘기"
"주가조작, 앞으로 걸리면 죽는다...법대로 할 것"
재생에너지 투자 등 균형발전 강조도
[양산=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16주기 추도식을 하루 앞둔 22일 제주와 경남 양산을 돌며 유세에 나섰다. 이 후보는 제주에서는 제주4·3 정신을 강조하며 국가폭력범죄의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특벌법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고, 양산에서는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등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전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언급하며 시장의 불공정성을 바로잡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제주 동문시장 유세에서 "거부권을 저한테 주시면 국회에서 국가폭력 범죄의 공소시효를 영구히 배제하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되는 순간 즉각 사인하겠다"고 말했다.

'반인권적 국가범죄의 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안'은 반인권적 국가범죄에 대해 공소시효와 국가배상청구권 소멸시효 적용을 배제하는 내용이 핵심으로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던 때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폐기된 바 있다.
이 후보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세 번째 제주4·3 사건'이라고 규정하면서 6·3 대선이 " 4·3 사건과 5·18 민주항쟁이 다시 재발하는 그런 사회로 갈 것인가 아니면 진정한 민주공화국으로 갈 것인가를 정하는 역사적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확실하게 진압하고 확실하게 책임을 묻고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서 엄정하게 국민이 살아있음을, 이 나라 주인이 국민임을, 국가의 어떤 권력자도 국민을 배반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줘야 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경남 양산에서는 전 경남지사였던 김경수 총괄선대위원장을 언급하며 부울경 메가시티를 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후보는 "지방에 투자하고 지방 정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영역에선 최대한 공정하게 기회를 다루고 성과를 공정하게 배분해서 양극화와 불평등을 최소화해서 좁혀가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를 위해 지방 거점 대학에 투자를 늘리는 '서울대 100개 만들기' 정책 등을 내세웠다.
제주와 경남 지역 공통 공약으로는 재생에너지를 강조했다. 제주 연설에서 그는 "제주도는 이제 앞으로 얼마 지나지 않으면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그야말로 완벽한 친환경 에너지로만 살아가는 그런 정말로 새로운 도시, 섬이 될 것"이라며 "풍력 발전도 앞으로는 화석연료 발전보다는 훨씬 싸질 가능성이 많다"고 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 무식하게 태양광 산업 수사한다고 다 망가뜨려 놨는데 전 세계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이 안 되면 앞으로는 물건을 못 판다"고 꼬집었다.
양산에서도 이 후보는 "기업 활동의 핵심 에너지원이 될 재생에너지가 가장 많은 곳이 서남해안"이라고 말했다.
◆ "尹, 처벌받아야 하는데 멀쩡히 부정선거 얘기...주가조작, 앞으로 걸리면 죽는다"
이 후보는 이날 윤 전 대통령 부부와 국민의힘을 겨냥한 발언도 이어갔다.
제주에서 그는 주식시장 공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김건희 전 여사를 언급했다. 이 후보가 연설에서 '주가 조작'을 언급하자 지지자들이 '김건희'라고 외친 것. 이어 이 후보는 "바로 김건희가 떠오르나. 누군가는 불공정하게 대량으로 공매도를 막 해버린다. 주가 조작을 해도 힘이 세면 다 봐주더라"면서 "전 세계에 광고를 했지 않나. '대통령 부인이 주가 조작에 연루됐다는데 처벌이 안 되네' 이렇게 시장에 대한 불신이 있으면 누가 그 시장의 주식을 사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시장 불공정성 문제는 6월3일이 끝나는 순간 해결된다. '앞으로 걸리면 죽는다' '돈 다 뺏긴다'고 하면 무서워서 못 하겠죠. 제가 그렇게 무서운 사람 아닌데, 법대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산에서는 윤 전 대통령을 겨냥해 "권력과 예산을 가지고 국민을 배반하고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고 최고 규범인 헌법까지 파괴하고 말았으니 파면이 아니라 처벌을 해도 시원치 않은 판"이라며 "그런데 그분이 지금 멀쩡히 여기저기 다니고 있더라. 부정선거 얘기도 하고"라고 꼬집었다.
검찰의 문재인 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에도 비판적 목소리를 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기소해서 서울로 수백 km(키로미터)씩 왔다갔다 하면서 1박 2일로 재판을 받아야 하지 않나"라면서 "원래는 피의자·피고인의 주소지에 기소하는 게 원칙이다. 저도 다섯군데엔가 엄청 많이 기소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거도 없는 사건들을 마구 기소해서 정말 이해가 안 된다. 제정신으로 하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6·3 대선 투표를 독려하면서 "6월 3일은 우리가 압도적으로 승리하는 날이 아니라 반드시 이겨야 하는 날이다. 그들에게 엄중하게, 압도적으로 심판해야 하는 날"이라면서 "압도적 심판이 성공하는 순간부터 대한민국의 경제와 미래는 우하향에서 바닥을 찍고 우상향으로 돌아설 것"이라고 말했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