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 중인 MBK파트너스가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변화의 빈틈을 노려 외국 자본과 함께 공격적 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더 커지면서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재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최근 홍콩 투자은행(IB) 전문 매체인 아시아벤처캐피털저널(AVCJ) 인터뷰에서 "역동성을 추구하는 한국 시장은 (기업 지배구조) 변화가 조금 더 빠를 것 같다. 우리는 그 변화의 주체 중 하나가 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IB업계에서는 김 회장의 인터뷰를 두고 고려아연과 한국앤컴퍼니 경영권 분쟁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 대기업 집단에 대한 인수·합병(M&A)시도를 강화하겠다는 발언으로 해석하는 분위기 입니다.
현재 국내 대기업은 3·4세 오너 경영인으로 승계 과정에서 선대에 비해 소유 구조 관점에서 지배력이 취약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재계에서는 사실상 한국 내에서 50%가 넘는 상속세를 고려할 때, 이들이 선대 경영인과 대등한 수준의 소유 기반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경영권을 물려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 주류입니다. 현재 3 ·4세 오너 경영인의 지배력 확대 발판이 될 주요 지주사 지분율은 대부분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대기업은 선대 창업주를 비롯해 오너 가문의 기업내 의사 결정권을 토대로 속도감 있게 전략을 구사해왔고 이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중 하나로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3·4세 오너 경영인 승계 과정에서 상속세 등 이슈로 기업가치 제고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불거졌고 주주 간 이해관계 불일치에 따른 갈등도 표면화되며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MBK파트너스가 M&A를 시도한 대기업 집단 역시 불완전한 지배구조와 주요 주주·창업자 가문 간 갈등 등이 공통점으로 꼽힙니다. 앞서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오너 가문 내 형제간 갈등이 MBK파트너스의 개입 계기가 됐습니다. 고려아연도 승계 과정에서 1대 주주와 2대 주주 간 불협이 경영권 분쟁이 시발점이 됐습니다다.
이런 상황에서 MBK파트너스는 자넌 18일 일본 도쿄에서 기관투자자 대상 연차 총회를 열고 6호 바이아웃펀드 2차 클로징까지 50억달러(약 7조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6호 바이아웃펀드 목표액의 약 70% 이상으로 중동 등 해외 큰손들이 출자자의 대부분입니다.
재계에서는 김병주 회장의 국적이 미국이라는 점과 중동과 중국 등의 자금이 MBK파트너스의 주주로 참여한 부분을 들어 과거 국내 대기업들을 공격하며 이른바 '먹튀'를 자행했던 투기적 외국자본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IB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국내 주요 기업의 경영권이 외국계 자본에 휘둘릴 경우, 국익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과거 여러 사례로 경험했다"며 "미국이 트럼프 당선으로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자국 기업에 대한 우선주의를 천명하는 상황에서 한국도 외국계 자본에 대항하고 경영권을 지킬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