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inside,China] 공장, 병원에도 무궁무진한 응용 잠재력...中, AI 발전에 엑셀 '꾹'

2025-02-25

새해 들어 중국의 파운데이션 모델 응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바이두의 '원신(文心)' 파운데이션 모델이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 기능을 도입하고 중국의 3대 통신사 역시 딥시크 오픈소스 파운데이션 모델과의 전면 연결에 나섰다.

얼마 전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는 올해 '인공지능(AI)+제조' 행동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과 산업 파운데이션 모델의 연구개발∙레이아웃∙중점 시나리오 응용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산 파운데이션 모델 발전 속도가 올라가고 생성형 AI가 산업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중국의 실크 제품 생산 기업인 완스리(萬事利∙WENSLI)그룹 전시홀에선 스크린을 터치하면 크리에이티브 도안이 생성되고 이를 반응성 염료 프린팅 일체화 기계에 업로드하면 스카프가 자동으로 '인쇄'돼 나온다.

완스리그룹 관계자는 AI생성콘텐트(AIGC) 디자인 파운데이션 모델을 최초로 만들었다면서 도안 데이터베이스, 300여 종의 그래픽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어 과거 디자이너가 3~5일 걸리던 디자인을 몇 초 만에 끝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공업 생산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파운데이션 모델의 열기가 감지되고 있다.

딥시크는 다수의 병원에서 현지화 레이아웃을 끝냈고 일부 지역의 정무 시스템에서도 접속이 잇따르며 응용이 현실화되고 있다.

AI 영상 모델과 영화∙드라마, 광고 제작, IP 개발 등 영역의 융합도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중국 동영상 플랫폼 선두주자인 콰이서우(快手)의 비디오 생성 파운데이션 모델 '커링(可靈)'은 '다수 그래픽 참고' 기능을 추가해 여러 개의 사진 속 다양한 캐릭터를 통합해 문자로 묘사한 대로 통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생산에서 소비까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까지 파운데이션 모델의 응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공신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지금까지 총 416개의 AI 분야 국가급 전정특신(專精特新, 전문화·정밀화·특색화·참신화) '작은 거인(小巨人·강소기업)'을 육성했고, AI 기업은 4500개를 돌파했다. 파운데이션 모델 산업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해당 전문 분야도 끊임없이 세분화되고 있다.

헤이마오(黑貓)그룹의 사업 분야인 카본블랙 산업은 고무, 플라스틱 등 분야에 업스트림 재료를 제공한다. 공정과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기술과 안전 생산 등에 따른 요구치도 높다. 이에 산업인터넷 기업 랑차오윈저우(浪潮雲洲)는 즈예(知業)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지식그래프, 산업 빅데이터 등을 융합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제어 매개변수의 정확도를 높였다. 덕분에 헤이마오그룹의 카본블랙 신제품은 합격률이 15% 향상됐고 예비품 소모는 2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푸쑹타오(蒲松濤) 중국 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 미래산업연구센터 주임은 "AI가 공업 연구개발∙디자인, 마케팅 서비스, 운영 관리 등 단계에서 공업 파일럿 테스트 검증, 생산, 제조 등 영역으로 점차 파고들면서 신형 공업화를 뒷받침하는 거대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공신부는 이미 AI 산업 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 전개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 과학연구기관 등이 컴퓨팅파워, 알고리즘, 데이터 연구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범용∙산업용 파운데이션 모델의 연구개발 레이아웃을 강화해 AI와 중점 분야의 심층 융합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생태계 육성을 가속화하고 발전 환경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방침이다.

출처 신화통신

정리 차이나랩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