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단 60년이 돼도, “나는 시(詩) 때문에 산다”

2025-08-18

60년이면 사람의 나이로는 이순(耳順)이거든. 근데 시에는 나이가 없어서 그런지 귀가 안 순해져.

수수밭에 바람이 불면 ‘수수’ 소리가 났다. 그 소리에 주저앉고 통곡했다. 집 앞 공원을 산책하다 보면 귀뚜라미가 ‘귀뚫어, 귀뚫어’하고 말을 걸었다. 이런 체험을 몸에 담아두다 시로 옮겼다. 천양희(83) 시인은 60년간 그렇게 시를 써 왔다.

등단 60주년을 맞은 천양희 시인이 지난 11일 시선집 『너에게 쓴다』(창비)를 냈다. 이미 출간된 시인의 시집 중 짧은 시들을 모은 이 책엔 2020년 봄 광화문 글판을 단장한 표제작 ‘너에게 쓴다’도 포함됐다. “꽃 진 자리에 잎 피었다 너에게 쓰고/잎 진 자리에 새 앉았다 너에게 쓴다”(‘너에게 쓴다’ 일부)

지난 14일 서울 노원구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독자들이 내 시를 깊이 읽고 사랑해주는데, 나도 짧은 시로서 긴 여운을 주고 싶었다”고 밝혔다. 지난달까지 폐렴으로 병치레한 시인은 “이런저런 일을 겪니 사는 거구나 싶다. 살아있으니 병도 앓는다”며 웃어보였다.

시선집엔 총 61편의 시가 수록됐다. 시인의 대표작인 『마음의 수수밭』(1994·창비), 공초문학상 수상작 『너무 많은 입』(2005·창비) 등과 『하루치의 희망』(1992·청하), 『그리움은 돌아갈 자리가 없다』(1998·작가정신) 등 절판도서에서 발췌한 작품까지 총 8권의 책에서 골라낸 짧은 시다. 그는 “매일 아침 내가 발표한 시집들을 훑는 습관이 있어, 내 시를 잘 안 잊어버린다”고 말했다. 이번 책을 위한 시를 고르는데 딱 3일이 걸렸다.

시집 안에는 “얼마나 많이 내 삶을 내가 파먹었는가” 이 한 줄이 전부인 시 ‘나의 숟가락’도 있다. 이 시를 포함, 61편 중 33편을 잠언시집 『그리움은 돌아갈 자리가 없다』에서 발췌했다. “내 인생의 단면을 쓰려니 길게 표현이 안 됐다. 내 인생의 굴곡을 한 마디로 표현한 시들이 많다.”

부산에서 태어난 천 시인은 모든 감각을 활짝 열며 호기심 많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러다 9살 때 ‘너는 앞으로 시인이 될 거야’란 선생님 말씀을 듣고 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화여대 국문과 3학년 학생이던 1965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그러다 서른둘엔 가족을 잃고 이혼을 겪으며 혼자가 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몸 상태도 악화되어 첫 시집 『신이 우리에게 묻는다면』(1983) 출간까지 18년이 걸렸다.

그간 전북 부안의 직소폭포에 찾아가 죽기를 시도한 적도 있다. 그곳에서 ‘너는 죽을 만큼 살았느냐’는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려 다시 살아보고자 결심했다. 그렇게 13년 만에 쓴 것이 대표작인 ‘직소포에 들다’라는 시다. 그의 또 다른 대표작 ‘마음의 수수밭’도 수수밭에서의 체험이 시로 나오기까지 8년이 걸렸다. “머리에서 가슴까지 가는 길이 가장 먼 길이라서 그런 것 같다. 특히 두 시는 긴 정신의 고통을 거친 뒤에 쓴 글이라 대표작으로 삼고 있다.” 그가 60년 동안 10권의 시집만 낸 이유다.

시에 대한 시도 많이 썼다. “모든 힘센 것 중에 시의 힘이 으뜸이지”(‘시는 나의 힘’ 일부)라고 가슴을 펴 보다가 “시 속에 잠기니/50년이 온통 회초리입니다”(‘시의 회초리’ 일부)라며 자신을 채찍질할 때도 있다. 시집 『몇차례 바람 속에서도 우리는 무사하였다』(2024·창비)에서 그는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한 독자가 물었다/(중략)/‘여든살의 인터뷰’를 쓴다면/어느 때 웃는다고 쓰겠느냐고/나의 대답은/딱 한줄/‘가진 것이 시밖에 없을 때 웃는다’”(‘딱 한줄’ 일부)

“시는 나를 질문자의 위치에 서게 해주고, 정의(定義)자 입장에 서게 해준다는 사실이 나를 늘 자극한다.” 천 시인은 “사람들은 나를 상처줬지만 시는 나를 봐줬다”며 “이때까지 나는 시 때문에 사는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독자의 존재가 그에게 위안을 줬다. “한 사람의 마음이라도 살려 놓고 이 세상을 떠나야 되겠다, 이런 생각이 있다.”

그는 글을 쓰느라 관절염이 생긴 손으로 여전히 시상(詩想)을 메모하고, 시를 눌러쓴다. “젊어도 보고, 늙어도 보니 지금에야말로 인생에 고맙다고 말할 수 있다. 전업시인으로 시력 60년을 맞은 나에게 ‘너 정말 잘했다, 참 고생했다’ 말하고 싶다.” 천양희 시인이 세운 앞으로의 계획은 언제나처럼 같다. “시와 같이 살고 싶다. 어서 건강해져 몸 닿는 데까지 낯선 곳을 찾아가며 시를 쓰고 싶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