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임플란트 사후관리 ‘소홀’

2025-03-26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이 임플란트 시술 후 정기적인 사후관리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주과학회는 3월 24일 ‘잇몸의 날’을 맞아 최근 ‘임플란트 사후관리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리서치가 40~60대 국민 118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7%가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임플란트 사후관리를 받지 않는 이유로는 ‘불편하지 않아서’가 89.4%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 ‘치료 받은 치과가 없어져서’(3.8%), ‘사후 관리에 대한 안내를 못 받아서’(3.8%), ‘시간이 없어서’(2.9%) 등 응답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상당수가 사후관리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임플란트 사후관리에 대해 69.4%가 ‘필요한 편이다’, 12.1%가 ‘매우 필요하다’고 답했고, 16.2%가 ‘보통이다’, 2.3%가 ‘필요하지 않은 편이다’라고 응답했다. 인식과 실제 행동사이에 괴리가 존재하는 셈이다.

이날 발표를 맡은 민경만 치주과학회 홍보부위원장은 “임플란트 시술 후 합병증을 자각하는 환자는 많지 않지만, 실제 임플란트 주위염 유병률은 약 60%에 이른다”며 “통증이 없어도 염증이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무증상 상태에서 방치될 경우, 임플란트 주변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임플란트 발치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국민 구강건강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실제로 통증 없이 내원한 환자의 엑스레이에서 심각한 골 소실이 발견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이날 함께 공개된 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임플란트 관련 부작용 사례 5건 중 4건(79.8%)은 사후관리 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 홍보부위원장은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음식물 찌꺼기 끼임, 잇몸 염증, 접촉면 상실 등으로 인해 치주질환과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자동차도 정기검사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듯, 사람의 몸에 삽입되는 임플란트는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자동차 정기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처럼, 임플란트 관리에 대해서도 사회적 제도 마련을 논의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