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 목표에 맞춰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AI 전담조직을 강화, 범정부 차원에서 진행중인 'AI 대전환'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박윤규 NIPA 원장은 31일 취임 100일을 맞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8월 1일자로 AI 전담 조직을 기존 2본부에서 3본부 체제로 확대한다고 전했다. NIPA 예산이 기존 6000억원 수준에서 2조4099억원까지 증액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정부는 국가 AI 역량 강화를 위해 1·2차 추경을 진행한 바 있다.
박 원장은 “추경 통과에 따라 기관 예산 구조가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기존 태스크포스(TF) 형태로 운영하던 조직 운영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전문적이고 유기적인 조직 체계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특히 AI 산업 발전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3본부는 △인공지능인프라본부 △인공지능반도체지원본부 △인공지능활용본부로 구성된다.
AI반도체지원본부는 AI반도체 전략 수립과 실증 확산, 신사업 기획 등을 수행한다. 단말형 AI, 피지컬 AI 등 미래 전략 분야도 함께 육성한다. AI를 활용한 산업 고도화와 융합 사업 확대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AI활용본부는 일상생활과 산업 현장에 AI 활용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AI 에이전트 관련 신규사업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도 추진한다. 국민 체감형 AI 사업의 핵심 추진 조직으로 기능한다.
박 원장은 “임기 동안 국정 방향과 연계해 'AI 대전환과 도약' 'AI 인프라 확충 강화' '선제적 미래 대응' 등을 목표로 삼고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AI 중심 산업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AI 인프라 조기 확충 △국가 AI대전환 촉진 △글로벌 수출 재도약 △미래를 선도하는 ICT 전문기관 실현을 경영 방향으로 정했다.
정책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기획단'도 신설했다. 디지털 신산업과 신기술 관련 정책 기획, 규제 개선, 산업 인재 양성 등을 전담하는 부서다. 정부 디지털 전략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한다. 규제 유예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AI 산업 인력 기반 확대에 이바지한다는 목표다.
지역 조직은 기존 지역디지털본부를 지역인공지능전환(AX)본부로 개편한다. 지역 맞춤형 AI 전환 실증지구 조성, 산업 특화 피지컬 AI 사업 등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지역 균형 발전과 AI 기반 산업 혁신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 기존 소프트웨어미래본부와 메타버스본부는 '소프트웨어융합본부'로 통합해 조직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 글로벌본부는 현행 체제를 유지하고, 디지털 관세 대응과 수출 기능 일원화 등 일부 기능을 보강한다.
박 원장은 “급변하는 ICT 산업 환경에서 국가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바지하는 핵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산업계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민관과 정부, 학계가 협력하는 국가 ICT 생태계 플랫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