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글로벌 경제는 또 한 번 격변의 시기를 맞이하게 됐다.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와 제재 강화가 예고되면서 중국 시장의 비즈니스 환경은 한층 더 불확실해졌다. 미·중 관계는 이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전략 조정이 요구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의 무역 관계와 수출 구조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따라 우리 기업들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유연성과 회복탄력성을 갖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첫째, 경제안보 리스크 관리와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트럼프 2.0 시대에는 대중 제재의 범위와 강도가 관세, 기술 통제, 투자 제한 등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가장 위험한 적성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특히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정책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우리 반도체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또 우리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 '차이나+1 전략'을 도입해 핵심 부품의 비축과 중국 외 지역의 2차 공급망 확보로 단일 소스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베트남에 대규모 생산기지를 구축하며 생산 거점을 다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이미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 신흥 시장으로 공급망을 재편 중이다. 이러한 전략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완화하고 장기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시장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 중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 소비 시장 중 하나로, 자국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법규 준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해 시장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 다만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제품과 중간재 사용을 강요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범용제품 시장에서 경쟁력 약화를 대비해야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고급화와 기술 격차 확대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예를 들어 LG전자는 프리미엄 가전 제품을 앞세워 중국 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중국 내 제휴 강화와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 추진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정책 변화에 대응한 장기적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기술 혁신 역량과 협력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및 핀테크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기술 협력과 합작 투자를 강화하고,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미국의 수출 규제를 준수하면서 중국과의 협력에서 법적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중국의 디지털 경제 성장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2025년까지 중국의 디지털 경제는 GDP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자상거래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알리바바와 징둥(京东)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라이브 커머스 및 KOL(Key Opinion Leader) 협력을 통해 실시간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 또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광고 전략을 도입해 시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책 변화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회복탄력성을 강화해야 한다. 미·중 간 무역 및 기술 경쟁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비해 미국과 중국의 정책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워싱턴과 베이징의 정책 입안자 및 전문가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해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해야 한다. 더불어 비상 계획 수립을 통해 긴급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은 우리 기업들에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다. 공급망 다변화, 현지화 전략, 기술 협력 강화, 디지털 전환, 정책 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불확실한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유연성과 회복탄력성을 갖춘 전략적 접근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변화의 물결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혁신을 주도해야 할 시점이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hgjeong100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