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7/42905215-5612-4d5f-a628-06796ec07ffe.jpg)
세계 곳곳에서 중국 업체가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금지 조치가 확산하는 가운데, 앱은 제한되더라도 오픈소스는 영향이 없다는 견해가 나왔다.
중국 텐센트뉴스 산하 텐센트테크놀로지는 7일 '딥시크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딥시크에 대한 해외 금지 사례들을 소개했다.
이 매체는 사용이 제한되는 대상은 딥시크 앱이며,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들이 채택하는 딥시크의 오픈소스는 별도라고 주장했다.
딥시크는 실제로 두 가지 제품으로, 개발자 도구 '깃허브(Github)'의 오픈소스 코드 라이브러리에 있는 딥시크를 완전히 구현한 것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딥시크 앱이라는 것이다.
딥시크는 깃허브에 자사의 생성형 AI 모델들인 딥시크-V2, 딥시크-V3, 딥시크-R1 등의 오픈소스를 공개해왔다.
딥시크가 지난달 20일 최신 모델인 딥시크-R1을 출시한 이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자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AMD,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세계 5대 클라우드 기업이 앞다퉈 딥시크 오픈소스를 채택했다.
중국 내에서는 화웨이와 텐센트, 바이두, 알리바바 등도 딥시크 오픈소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한 정보기술(IT) 매체는 "현재 제한 대상은 일반인이 아닌 공무원들은 딥시크 앱을 쓰지 말라는 것으로, 어떤 정부도 오픈소스 자체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한편, 딥시크 개발에 오픈AI의 약 5% 비용밖에 들지 않았다는 논란에 대해서도 텐센트테크는 다른 의견을 냈다.
텐센트 테크는 "딥시크가 약 550만 달러(약 80억원)를 들여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 이 수치는 딥시크-V3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 하지만, V3에 추가 강화학습을 가해 약 한 달 뒤 출시한 추론(reasoning) 모델 R1의 추가 비용은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개발 금액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또 550만 달러는 최종 훈련에 들어간 비용일 뿐, 그 이전의 각종 실험 및 인프라 비용과 미국 등 빅테크 수준과 비슷하다는 딥시크 연구원들의 급여 등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즉, 모든 비용을 합치면 개발비는 훨씬 늘어난다는 의미다.
다만 텐센트테크는 모든 것을 감안해도 여전히 컴퓨팅 비용이 기존보다 훨씬 적어 효율적인 것은 사실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