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여행 플랫폼 부킹닷컴이 16일 발표한 ‘MZ세대 여행 심층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MZ세대(18~44세)는 여행을 단순한 여가가 아닌 자기 성장과 감정적 회복의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리포트는 부킹닷컴이 매년 발간하는 ‘지속가능한 여행 보고서’와 ‘연간 여행 트렌드’ 연구를 토대로, 세대별 여행자의 행동과 인식을 종합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특히 MZ세대의 여행 계획, 소비 패턴, 동반자 유형, 여행 동기와 가치관 등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 비싸도, 여행은 인생 우선순위
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MZ세대는 올해 가장 적극적으로 여행 지출을 계획한 세대로 조사됐다.
한국의 MZ세대 중 53.5%는 “최고의 여행 경험을 위해 예산을 아끼지 않겠다”고 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평균(41.5%)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79%는 “예산을 고려하면서도 최적의 옵션을 찾겠다”고 응답해, ‘가치 소비’와 ‘합리적 소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출 항목에서는 한국 MZ세대가 ‘쇼핑(45.5%)–식사(39.5%)–숙소(37.5%)’순으로 소비한 반면, 글로벌 응답자는 ‘식사(54.5%)–쇼핑(46.5%)–숙소(41.5%)’ 순으로 나타나 소비 우선순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78%는 앱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최저가와 할인 정보를 찾는다고 답해 디지털 네이티브다운 ‘스마트 소비 습관’을 보여줬다.
■ 이제는 내 가족·내 친구와
MZ세대가 성장하며 여행 동반자 유형도 달라졌다. 과거 부모와 함께 떠나는 여행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배우자·자녀 등 나만의 가족 중심 여행이 대세다.
한국 MZ세대의 45.5%가 배우자나 연인과, 46%가 자녀 등 가족과 여행했다고 답했다. 한편 혼자 여행하는 ‘솔로 트립’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해, 한국 MZ세대의 29%가 최근 1년 내 1인 여행을 다녀온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혼자 여행을 떠나는 이유로는 ‘자유로운 일정’(66%), ‘혼자만의 시간’(54%)이 가장 많았다. 국내 여행을 우선 선택(54%)하는 비율도 글로벌 평균(43.5%)보다 높았다.
■ 여행은 나를 회복시키는 시간
MZ세대에게 여행은 휴식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국 MZ세대의 49%는 “기분 전환을 위해 여행을 계획한다”고 답해 베이비부머 세대(31%)를 크게 앞섰다.
힐링 여행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한국 MZ세대는 스파·웰니스 리트릿(43%)과 해변 휴식(48%), 자연경관 감상(37%)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의 주요 동기로는 ‘휴식’(48.5%)과 ‘정신적 힐링’(37%)이 꼽혔으며, 그 밖에도 현지 미식(53%), 모험 활동(35%), 문화 탐험(31.5%) 등 경험 중심 여행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여행지 선택 요인으로는 안전성(48%), 좋은 날씨(42%), 가성비(36.5%)가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만족도 높은 여행지를 다시 찾는 ‘재방문 여행’ 트렌드도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