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태민 기자]글로벌 시장에서 3D 프린팅 건설 분야 규모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경비실, 옥외 벤치 조성 등에만 활용될 뿐, 주거용 건물은 만들 수 없는 상황이다.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규제 해소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 3D 프린팅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꼽히고 있다. 특히 건축용 3D 프린팅 기술은 미래 건설 신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건축 구조물 및 제품의 제작 비용 및 시간 절감, 다품종 소량 생산 가능, 맞춤형 제작 용이, 제품 공정 간소화, 건축폐기물 절감 등의 장점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 및 분석 전문 기업 ‘모더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전 세계 3D 프린팅 건설 시장 규모는 올해 24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오는 2030년에는 118억 달러까지 성장하며, 연평균 37~4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외국에서는 제도와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는 해외에서 유일하게 3D 프린팅 관련법을 가지고 있다. 미국도 3D 프린팅 건축 기술표준 ‘AC509’ 등을 통해 3D 프린터로 시공한 벽체에 대한 품질 인증 제도를 만들었다. 3D 프린팅 건축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하고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사업도 진행 중이다.
국내도 국토교통부가 지난 2023년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를 출범하며 건축용 3D 프린터 규제 해소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로봇 건설 업계는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다. 전통적인 건축 방식과는 다른 형태로 건설되다 보니 기존의 건축법상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조형물, 소형 경비실, 옥외 벤치 등 소규모 구조물에 활용될 뿐 주거용 건물을 착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로봇건설업계 관계자는 “3D 프린팅 건축에 대한 표준 시방 지침서, 구조안전진단 승인을 위한 안전기준 등이 필요하다”며 “국토부가 3D 프린터에 대한 규제 해소에 조속히 나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진국 동아로보틱스 부사장도 "외국에 비해 아직 국내에서는 3D 프린터 발전이 더딘 상황"이라며 "글로벌 건설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국가 시범사업 지정 등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팩플] 선진국은 다 먹었다... 제3국으로 눈 돌리는 AI 기업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4/05d3be0a-0ad2-45a2-a842-339645c342c6.jpg)
![[헬로DX] 선박 넷제로 운영의 답안지 제시한 슈나이더 “규정·운영·복원력이 한 화면에”](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043/art_17613919705612_543880.jpg?iqs=0.7115291365132576)


![롯데·HD현대, 대산 석화설비 12조 빅딜 합의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5/2GZBCGYG73_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