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7월 산업생산·소비·투자가 한 달 전보다 모두 늘었다. 2월 이후 5개월 만의 ‘트리플 상승’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114.4(2020년=100)로 전달보다 0.3% 증가했다. 4∼5월 마이너스(-)였던 전산업생산은 6월(1.5%) 반등 후 7월까지 2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20.9%)·기계장비(6.5%) 부문 호조로 전달보다 0.3% 증가했다. 다만 자동차 생산은 7.3% 감소하며, 지난해 7월(-11.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은 “7월 휴가철과 부분파업, 관세 부과에 따른 미국 전기차 공장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생산과 수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생산도 3.6% 감소해 지난해 7월(-6.9%) 이후 최대 폭으로 줄었다.
소비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2.5% 늘어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지난달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소비 심리 회복 영향으로 풀이된다.
내구재(5.4%)·준내구재(2.7%)· 비내구재(1.1%) 모두 판매가 증가했다. 특히 갤럭시Z플립·폴드7 등 신제품 출시 효과로 통신기기 및 컴퓨터가 16.8% 증가했고, 2차 추경에 포함된 으뜸 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 등으로 가전제품 판매도 6.6%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2% 증가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외식·미용·헬스장 등 서비스 소비 증가로 이어지면서다. 도소매업에서 3.3% 증가했고, 숙박음식업(2.0%), 예술·스포츠·여가(7.5%),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8.4%) 등 생산도 일제히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8.1%)·기계류(3.7%) 중심으로 7.9% 늘어 5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지만,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5포인트 올랐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지난달 30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가 강화됐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추가경정예산의 신속 집행과 지방 중심 소비·건설 활성화, 추석과 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국내 개최 등을 계기로 해 내수 부양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미국 관세 협상 후속 조치 및 기업 피해 보완 방안은 9월 중 마련하고, 인공지능(AI) 대전환, 초혁신경제 30대 프로젝트 등 성장 전략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