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도 매일 16시간씩 근무”…지쳐가는 국정자원 피해 대응부처들

2025-10-06

“추석 때도 7명 정도가 매일 16시간씩 근무해야 합니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피해 복구를 위해 꾸려진 A부처 비상대응본부 소속 직원의 말이다. A부처처럼 국정자원 피해를 입은 모든 부처는 추석 연휴에도 전산업무팀을 중심으로 비상근무체제다.

추석 때도 비상 대응을 각오했던 A부처는 직원들이 더 쓰러질 것 같다고 하소연한다. 추석 전부터 하루에 이뤄지는 회의는 범부처 회의만 4~5회다. 타 부처는 물론 국회까지 매일 6~8회씩 자료 요구를 한다. 특히 이달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상임위원회 소속 기관 피해 상황을 세세하게 보고하라고 부처들에 요구하고 있다. 결국 A부처 전산팀 소속 직원 1명은 추석 전 쓰러졌다고 한다.

지친 몸보다 부처 직원들을 힘들게 하는 상황은 잦은 회의와 자료 요구가 화재 피해를 빠르게 복구하는 방법이 아니라면서도 따라야 한다는 점이다. B 직원은 “회의 내용과 요구 자료 상당수는 피해 상황을 묻는 것인데, 이미 행정안전부(국정자원 상급기관)에 있을만한 자료를 묻는 식”이라며 “피해를 입은 부처가 피해 상황을 행안부에 다시 전달하기 위한 회의와 자료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피해 복구가 우선이면 인력을 적절하게 배분해야 하는 게 우선임에도 대부분 부처가 회의 참석과 자료 응대에 매달리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실제로 C 의원은 A 부처에 ‘왜 이번 화재로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았는지’ ‘과거 이번 화재와 같은 사고에 대비한 모의훈련을 했는지’ 등 이미 여러 부처와 의원들에게 답변한 동일한 질의서를 보냈다.

국정자원 화재 이후 피해 대응 부처의 업무 피로도가 극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이 내부에서 들끓고 있다. 3일 국가전산망 장애 담당팀을 총괄하던 행안부 직원이 투신해 사망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부처 내에서는 시스템 우선 복구란 최우선 과제 보다 사후 대응과 같은 후순위 과제까지 동시에 해결하려는 공직사회의 비효율적인 대응이 이번 화재 사고에서도 되풀이됐다고 지적한다. 이런 식이라면 피해 복구가 완전히 이뤄진 후에도 비상대응체제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많다. 행안부는 이날 0시 기준 피해 복구율이 약 21%라고 밝혔다.

B 직원은 “현장에서는 복구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술적·인적 자원 투입이 우선이라고 지적한다”며 “사고 원인과 책임 규명을 위한 조사는 복구 안정화 이후 진행해야 한다, 지금 가장 중요한 일은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살려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