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 위탁 택배기사 1만여 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가 3일 민주노총의 ‘심야 배송 제한’ 추진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CPA는 민주노총의 주장이 “현장의 목소리를 무시한 탁상공론”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CPA는 3일 발표한 성명에서 “노동자의 해고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새벽배송 택배기사들을 사실상 해고하려고 한다”며 “새벽배송이 아니라 사회적 대화를 폐지해야 할 판”이라고 비판했다.
단체는 이어 “새벽배송 금지는 야간 기사 생계 박탈 선언이자 택배산업 자해행위”라며 “새벽배송의 실태조차 모르는 일부의 억지 주장이 기사들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CPA는 이를 뒷받침할 긴급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새벽배송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93%가 ‘심야시간(0~5시) 배송 제한’에 반대했으며 95%는 ‘새벽배송을 계속하겠다’고 답했다.
기사들이 새벽배송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주간보다 교통체증이 적고 엘리베이터 이용이 편리하다’(43%)가 가장 많았다. 이어 ‘수입이 높다’(29%), ‘주간에 개인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22%), ‘주간 일자리가 부족하다’(6%) 순이었다. 응답자의 70%는 “규제가 시행되면 다른 야간 일자리를 찾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이 제안한 ‘오전·오후 교대제’(05~15시, 15~24시) 역시 거센 반발을 불렀다. 해당 제도에 대해 기사들의 89%, 84%가 각각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처럼 CPA가 강경한 입장을 내놓자 업계에서는 “민주노총 소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택배기사들이 반대 입장에 동참했다”는 반응이 퍼지고 있다.
현재 쿠팡의 새벽배송은 쿠팡 직배송 기사(약 7000명)와 택배대리점 소속 퀵플렉서(약 2만 명)가 담당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심야배송 기사만 약 1만 5000명에 달한다.
앞서 쿠팡 직배송 기사를 대변하는 ‘쿠팡노조’는 성명을 내고 “새벽배송은 쿠팡의 핵심 경쟁력이며 해당 시간대 배송이 중단되면 상당수 기사들이 일자리를 잃는다”며 “배송 물량이 주간으로 몰릴 경우 교통 혼잡과 민원 증가 등 사회적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CJ대한통운·한진 등 비노조 기사 6000여 명이 가입한 비노조택배연합회도 “교통량이 적고 이동시간이 짧은 새벽배송은 기사 입장에서는 효율적”이라며 민주노총의 입장에 반기를 들었다.
택배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택배기사는 약 10만 명 규모이며 민주노총 택배노조 소속은 10% 미만이다. 쿠팡지회에 소속된 민주노총 택배기사는 100~200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단독] 근로감독관 새 이름 물어보니… ‘노동보호관’ ‘노동경찰’ 선호](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50936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