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쌀 추가 개방, 전혀 논의 안 해…美와 윈-윈 가능"

2025-08-01

관세 협상 협상단, 1일 귀국

"천사도 디테일에 있다고 생각"

"조선업 1500억달러 투자, 전략적 접근할 것"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중 '레드라인(한계선)'으로 꼽혔던 쌀 문제에 관해 "미국과 추가적인 개방에 대해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구 부총리는 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을 만나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날 구 부총리는 관세 협상을 마치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귀국했다.

이날 구 부총리는 쌀 개방 여부를 묻는 질의에 대해 "쌀과 관련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며 "미국과 추가적인 개방에 대해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번 한미 간 관세 협상에서 우리 정부는 쌀 시장을 불가침 영역으로 사수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협상 결과 양국은 쌀 시장을 개방하지 않는 것에 합의했지만, 백악관이 '한국이 쌀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고 발표하면서 양측 간 입장 해석이 엇갈렸다.

이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쌀 시장 추가 개방은 없다. 세부적 요건에서 (미국 정부와) 서로의 이해, 인지하는 것이 좀 달랐다는 정도로 말씀드릴 수 있다"며 "개방을 하지 않는다는 우리 정부의 발표가 맞다"고 했다. 여기에 더해 구 부총리도 부인 의사를 밝힌 것이다.

구 부총리는 이번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전쟁과 같은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지난 일주일간은 소위 전쟁과 같은 그런 협상 과정이었다"며 "하지만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관계 부처가 수시로 소통하고 전략도 잘 수립해 대응할 수 있었다. 우리가 (미국과 협상을 진행한) 다른 나라에 비해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이번 협상 결과에 포함된 '대미 3500억달러 투자'에 대해서는 "3500억달러 중 1500억달러는 조선업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며 "국내에서 당장 어떻게 전략적으로 접근할 것인지 챙기겠다"고 언급했다.

투자 규모 중 남은 2000억달러에 관해서는 "안보·전략 분야에 투자할 예정으로, 반도체와 배터리 등을 말한다"며 "이는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로, 미국과 어떻게 전략적으로 얼라이언스 할 수 있을지 세부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구 부총리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하는데 저는 천사도 디테일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미가 윈·윈 할 수 있는 경제협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미국에서는 미국 경제를 위해 투자를 하라고 하지만, 오히려 미국과의 전략적인 얼라이언스를 통해 한국 경제가 다시 세계 1등으로 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미 양국이 상호 호혜적인 경제 동맹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