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전국 곳곳이 한파로 추운 날씨이다. 요즘처럼 추운 날씨로 향이 가득한 따듯한 차가 그리울 때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재스민차다. 재스민차는 이름만 놓고 보면 꽃을 이용한 꽃차로 생각하기 쉽다. 실제로 일부 제품은 재스민꽃으로 만든 대용 차이나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에서 재스민차라고 하면 주로 중국 복건성(福建省) 식의 녹차 베이스에 재스민의 향기를 더한 차를 말한다.
중국의 대표적 꽃차인 재스민차의 성분표를 보면 97%가 찻잎이며, 재스민의 꽃잎은 3% 정도 포함되어 있다. 중국에서 꽃차는 주로 녹차에 꽃의 향기를 옮긴 것으로, 그 제법은 옛날 송(宋)나라 때 발명되었다. 꽃에는 재스민 외에 은목서, 치자, 장미 등이 사용된다.
재스민 속의 재스민(茉莉花)는 2000년 전의 전한(前漢) 시대부터 중국에서 재배되어 세계 재배 면적의 3분의 2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서 재스민은 단순한 꽃뿐만 아니라 영원한 사랑의 상징이며 불교에서는 거룩한 꽃으로 여겨진다. 또한 차는 옛날부터 해독제로 인식되어 왔다.
재스민차의 제조법은 꽃이 피기 직전의 재스민의 꽃봉오리를 수확해서 밤에 꽃잎이 열리기 시작하고 향기가 나올 때 찻잎에 섞는다. 양질의 것은 꽃을 바꾸어 이 과정을 반복해 꽃의 향기를 차에 더한다. 구체적으로는 녹차 또는 차의 싹과 재스민의 꽃에 넣고 섞은 다음 다음날에 꽃잎 1장 1장을 손으로 제거한다. 이 작업은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품질이 높아진다.
재스민차의 주요 산지는 복건성의 복주시(福州市), 절강성(浙江省)의 금화(金華), 강소성(江蘇省)의 소주(蘇州), 광동성(廣東省) 등이다. 이 중에서 복주시(福州市)는 재스민차의 발상지라고도 할 수 있다.
복건성(福建省)의 복주시(福州市)는 지형이 하구 분지이며, 분지 주변 산의 해발은 600m~1000m 정도이다. 기후는 해양성 아열대 계절풍 기후로 일조 시간이 짧고 안개와 구름이 자주 발생한다. 이 환경은 차 재배에 매우 이상적이며, 분지의 중심부의 평원은 비옥한 점토가 많은 흙으로 재스민 재배에 적합하다.
복주시는 또한 밤낮의 기온차가 큰 편이서 품질이 높은 재스민의 꽃을 채취할 수 있다. 복주시의 산에는 차나무, 분지를 흐르는 강 연안에는 재스민꽃이 있다는 자연의 규칙에 따른 농작법이 오래전부터 남아 있다.
복주시에서 재스민차 만들기는 명나라 시대부터 시작되어 청나라 시대에 더욱더 활발해졌다. 특히 청나라 말기에 복주시는 대외통상 항구로 지정되었으며 현지 재스민차는 구미와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되었다.
중국이 성립한 뒤 재스민 차 산업은 다시 진흥하기 시작했다. 2013년 복주시 재스민차 재배시스템은 중국 농업성의 중국중요농업문화유산 리스트에 등록되었으며, 이어 2014년 유엔 식량농업기관(FAO)의 세계중요농업문화유산 목록에도 등재되었다.
재스민차 생산 체계는 지역사회의 주요 생계 원천이며, 재스민차를 키우는 생태계는 다양한 작물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등 보건성에서 재스민차의 유용성은 매우 큰데 그 원천은 지역의 생태계를 이용한 것에 의한다. 즉, 재스민 나무와 차나무는 보통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란다.
그런데 다양한 미기후를 지닌 복건성(福建省)의 구릉지대 덕분에 차나무와 재스민 두 나무가 공존할 수 있고, 이것을 이용한 것이 재스민차다. 복건성에서는 이 독특한 생태계 덕분에 현지에서 생산된 차에는 자연스럽게 재스민 향이 나고, 1,000년 전에 처음 발명되어 오늘날에도 여전히 차와 재스민 나무가 재배고, 재스민차가 만들어져 소득원이 되고 있다.
복건성의 재스민차의 위와 같은 발전 과정은 겨울철의 추운 환경과 눈 그리고 해안가나 산간 지역 등 각각의 환경을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과 어떻게 연결하고 이것을 특산품화할 것인가에 대해 교훈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Fuzhou Municipal Government. . 2014.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Initiative: Jasmine and Tea Culture System of Fuzhou City. Fuzhou Municip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