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ㆍ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임선희 교수팀은 “혈액검사를 기반으로 암검진 사각지대로 불리는 젊은 여성의 미만형 위암에 대한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2000년대 초반 국가암검진 제도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환자들이 조기에 위암을 발견해 치료받을 수 있게 됐고 치료 결과도 향상됐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위암검진의 사각지대로 지목되는 연령대가 있다. 바로 2030 세대다. 현행 국가위암검진은 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보다 낮은 연령대는 조기 발견 기회를 놓치기 쉬운 환경이다.
이들 중 특히 젊은 여성에게서 빈발하는 ‘미만형 위암’은 위 점막을 따라 퍼지듯 진행돼 내시경 검사로도 놓치기 쉽고, 뒤늦게 진단되더라도 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편이다. 위암 조기발견의 사각지대와 기존 내시경 검사의 한계까지 겹치는 가운데,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위암 고위험군을 가려낼 수 있는 새로운 검사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김나영 교수팀은 이러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건강검진 현장에서 간단하게 확인 가능한 혈액검사 기반의 펩시노겐2 수치가 위암 환자 선별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펩시노겐2는 위 점막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위에 염증이나 이상이 생기면 그 수치가 올라간다.
연구팀은 펩시노겐2 수치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전략으로 예측력을 더욱 높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만 3000여 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대상자들의 혈액검사 결과와 위내시경 결과를 교차 비교한 결과, 혈중 펩시노겐2 수치가 기준치(21ng/mL) 이상인 동시에,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됐거나 과거 감염된 적이 있으면 조기 미만형 위암 발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특히 20~30대 여성에서 가장 뚜렷하게 관찰됐는데, 이때 미만형 위암의 발병 위험은 일반인 대비 최대 25.8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조기 미만형 위암 고위험군을 효과적으로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펩시노겐 검사가 미만형 위암, 특히 건강검진 사각지대인 젊은층에서 의미있는 예측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한국인의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를 헬리코박터균 감염력과 조합해 예측 정확도를 더욱 끌어올려 임상 현장에서 활용도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나영 교수는 “모든 사람에게 내시경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혈액검사로 고위험군을 선별한 뒤 선택적으로 내시경을 시행한다면 검진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이 될 수 있다”며 “특히 미만형 위암이 많이 발생하는 젊은 여성 등 현행 국가암검진 체계에서 놓치기 쉬운 대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종양학 및 암 예방 분야 국제학술지 ‘Cancers’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