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 통상 뉴노멀: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 정권이 바뀌어도 고관세 부과 정책은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통상 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를 경고했다. 한미 관세 협상에서 관세·비관세 문제를 넘어 투자 펀드·원자력협정·외환시장 안정 등이 함께 논의되며 통상이 외교·안보와 깊이 엮이는 새로운 질서가 확립되는 모습이다.
■ 기술 혁신: 삼성전자(005930)가 2026년 사장단 인사에서 전영현·노태문 2인 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하며 안정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하버드대 뉴로모픽 반도체 석학을 영입했다. 32세에 하버드대 조교수로 임용된 천재 과학자 박홍근 교수가 SAIT 사장으로 합류하며 GPU·HBM 중심 경쟁을 넘어 인간 뇌 구조를 닮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 시장 급변동: 코스피가 11월 들어 15거래일 중 7일에서 100포인트 이상 급등락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외국인이 하루 2조 8229억 원을 순매도하며 4년 9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이달 누적 매도액은 12조 2990억 원에 달해 2020년 3월 수준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기업 CEO 관심 뉴스]
1. “美 관세, 과거로 돌아갈 일 없어…공세적 新통상전략 세울것”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이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지속될 것이라며 통상 패러다임 변화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2000억 달러 대미 투자 프로젝트 선정이 협상의 최종 성과를 좌우하며, 일본은 이미 정부가 선제적으로 미국에 사업을 제안하고 기업들이 합작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있다. 트럼프 1기 때는 한미 FTA 프레임 내 협상이었지만 이번에는 기존 통상 규범 자체가 무의미해졌다. 통상이 외교·안보와 깊이 결합되며 관세·비관세를 넘어 투자 펀드·원자력협정·외환시장 안정 등이 함께 논의됐다. 여 본부장은 앞으로 수비가 아닌 공세적 통상 전략이 필요하며, 역직구 확대와 비관세장벽 대응을 위한 한국판 무역장벽보고서 개편 방침을 밝혔다.
2. 안정 속 ‘기술 인재’ 전진 배치…HBM 넘어 AI 혁신 속도낸다
삼성전자는 2026년 사장단 인사에서 전영현 반도체 부문장 겸 부회장과 노태문 모바일·가전·영상디스플레이 부문장 사장의 2인 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했다. 사장 승진자가 1명에 그쳐 이재용 회장이 현 체제를 지지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AI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8개월 만에 대표이사로 승진했다. 이 회장은 서울대 수석 졸업 후 스탠퍼드 화학 박사를 취득하고 32세에 하버드대 조교수로 임용된 박홍근 교수를 SAIT 사장으로 영입했다. 박 교수는 뉴로모픽 반도체 분야 세계적 권위자로, 삼성이 GPU·HBM 중심 경쟁을 넘어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3. 이틀마다 100P씩 널뛰는 증시…“12월 FOMC까지 변동성 불가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1.59포인트(3.79%) 급락한 3853.26에 마감하며 외국인이 2조 8229억 원을 순매도해 4년 9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12조 2990억 원을 팔아치우며 2020년 3월 수준(12조 5550억 원)에 육박했다. 코스피는 11월 들어 15거래일 중 7일에서 100포인트 이상 급등락했고, 매주 금요일마다 ‘검은 금요일’을 반복하고 있다. 코스피200 변동성지수는 41.38로 마감하며 올해 40선을 넘긴 다섯 번째 날을 기록했고 이 중 네 번이 11월에 집중됐다. 전문가들은 단기 달러 유동성 부족이 근본 원인이며, 12월 1일 연준의 양적긴축 종료와 FOMC 금리 결정이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4. 탈탄소 목표만 있고 액션플랜은 없어…車·鐵·化에 불똥 튈수도
기후에너지환경부가 동해 가스전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두 차례 연속 자진 철회하면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는 2030년까지 CCS로 1120만 톤CO2eq를 감축하고, 2035년에는 최대 2030만 톤으로 약 2배 늘린 목표를 설정했다. 영국은 CCS 인프라에 200억 파운드(약 33조 원)를 투자하고, EU 최초 프로젝트도 정부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탄소 저장보다 배출권 구매가 저렴해 경제성이 부족하고, 대규모 인프라가 필요해 정부 지원 없이는 민간투자가 어렵다. 철강·자동차·석유화학 업계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 목표가 제시됐지만 산업별 세부 할당량이 불명확해 혼란을 겪고 있다.


▶ 기사 바로가기: KB, 연말까지 주담대 전면 중단

▶ 기사 바로가기: “로봇 전담 컨트롤타워 세우고 AI 특별연장근로 허용해야”

▶ 기사 바로가기: 달러에 안정적으로 투자…올해 4000억 자금 유입



![[중국증시 데일리 이슈(11.21)] 대일 추가보복 가능성, 중·영 넥스페리아 사태 논의, 광둥성 AI 등 신기술 개발 확대, 탄산리튬 최고가 랠리, 5G·자동차 관련 이벤트](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김주한 교수의 정보의료·디지털 사피엔스]절대 반지와 팔란티르 구슬의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6/19/news-p.v1.20250619.ae9198b142bb4559bb8cc43f3219a597_P1.jpg)
![삼성전자 하버드 천재 과학자를 모셔온 이유…HBM 다음 노린다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2/2H0JWK7E9J_1.jpg)

![한반도 첫 잠수함, 장보고함 아니었다? 82년전 '씁쓸한 역사' [Focus 인사이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1/47aa2fec-a83d-49af-8f8c-a4f51095d344.jpg)
![[ET시론] 기후위기 시대, 타협할 수 없는 '탄소중립'의 가치](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0/news-p.v1.20251120.fb9281aa6d9d417c8b59bc433f85aadf_P3.png)
![[김봉섭의 이심전심(以心傳心)] 이산성(離散性) 활용 전략](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7/art_17635108061751_7fc48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