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첨단산업 인력 양성, 학과 분류 정책 변화 필요해”

2025-02-02

산업 분야에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면서 첨단분야 인력 양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학의 기존 학과 분류 체계로는 인재 양성 정책을 뒷받침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연구 브리프에 따르면, 정부의 '첨단분야 인재 양성 전략'과 같은 첨단분야 인력 양성 정책 등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첨단분야 공급 인력 규모 추정 통계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DI는 대학 커리큘럼 정보를 활용한 첨단분야 양성 학과를 분류한 결과, 학제에 따라 서로 다르고, 하위 신기술에 따라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전문대 161개 대학 1695개 학과, 일반대 177개 대학 2640개 학과, 대학원 151개 대학 2221개 학과를 대상으로 첨단 분야, 신기술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항공·우주·미래 모빌리티 분야를 살펴보면, 전문대와 일반대는 기존 모빌리티 산업과 기초학문에 기반한 학과가 다수 포함됐으나, 대학원은 첨단기술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전문대는 높은 수준의 전공지식이 요구되는 '우주' 분야 학과가 보이지 않았다.

바이오 헬스 분야는 일반대학과 대학원을 중심으로 양성 학과가 설치됐다. 일반대학은 헬스케어 및 의료뷰티 관련 학과가 주를 이루며, 대학원의 경우 의료기기, 신약 관련 학과가 포함됐다.

첨단부품·소재 분야는 신기술간 상호 연관성이 높아 신기술별로 학과가 분리되지 않는 현상이 뚜렷했다. 특히 학과별로 충첩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차전지는 첨단신소재, 에너지, 모빌리티와 차세대반도체는 차세대디스플레이 분야 등과 겹쳤다.

디지털 분야도 마찬가지였다. 신기술별로 명확히 분리되지 않고 디지털 기반 학과로 통합 분류됐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분야의 경우, 전문대와 일반대는 타 분야와 접목해 콘텐츠로 활용하는 경우가 대다수고 대학원은 1개 학과만 나타나 독립 분야로 분류하기 어려웠다.

환경·에너지 분야는 에코업의 경우 환경공학과, 화학공학과, 생명화학공학과 등 환경 관련 학과가 포함됐다. 에너지신산업은 전기에너지, 신재생에너지공학과 같은 전기·에너지 관련 학과가 담겼다. 다만, 대학원은 에너지시스템, 에너지융합, 환경공학, 신화학소재공학 등 융·복합 학과로 구성됐다.

KEDI는 첨단분야 인재 양성 정책 수립을 위해 공급 인력을 추산할 때 대학 커리큘럼 등 세부적인 질적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학사제도의 자율화 양상을 고려했을 때 첨단 분야 인력 양성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려면 국가 수준에서 학생의 교육 상세이수 정보를 포함한 개인 단위의 정보 수집, 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