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기 피하는 원칙 세 가지

2025-08-20

1980년대에 고속버스를 타고 다닐 때였다. 휴게소에서 서너 명의 건장한 남자가 뛰어 올라와 번호표를 나눠 주고 즉석에서 추첨을 했다. 당첨된 사람에게는 ‘오늘 땡 잡았다’고 하면서 롤렉스 시계를 경품으로 주었다. 다만, 그 시계를 받으려면 세금을 내야 한다. 결국 가짜 시계를 판 셈이다. 순진한 사람들은 당했다. 고속버스를 처음 타 본 아내는 당첨되자 너무 좋아 손을 번쩍 들었다가 곤혹을 치른 적이 있다. 어리석어 보이지만 이런 일은 모습을 바꿔가며 반복된다.

사이렌의 노래 같은 금융사기

금융시장에 공짜 점심 없어

아니다 싶으면 보지도 말아야

인공지능(AI)이 목소리를 흉내 내며 피싱 사기를 치더니 이제는 리딩방을 이용해 금융사기를 친다. 10만원을 보냈더니 하루 만에 4만7000원 수익을 주었다. 300만원을 넣었더니 4400만원으로 투자금이 늘어났다. 돈을 찾으려 했더니 수익의 25%를 수수료로 보내 주어야 한다고 했다. 돈을 보냈더니 잘못된 이름으로 보냈다고 다시 보내라고 한다. 이런 저런 이유로 보내 준 돈이 6600만원이 넘게 됐다(중앙일보 8월 5일자).

금융사기 만이 아니다. 고수익의 금융상품을 위험(risk)은 보지 않고 수익만 보고 샀다가 낭패당하는 경우도 있다. 독일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으면 5% 수익을 주겠다는 상품이 있었다. 독일 금리에 연계된 파생결합증권(DLS)으로 2017년 당시 예금 금리가 1%대 중반일 때였다. 금리가 마이너스 된다는 건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빌린 사람에게 이자도 준다는 뜻이다. 이런 일이 일어날 리 만무하다고 여겨졌다. 그런데 독일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고 -80%까지 손해를 봤다.

금융에서 개인들은 반복적으로 이런 위험에 빠진다. 노후 자금이 사라질 수도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필자의 금융시장 경험으로 본다면 다음의 세 원칙을 기억하고 있으면 된다.

첫째, 금융시장에 공짜 점심은 없다. 리딩 사기처럼 하루 만에 47% 수익이 나고, 300만원을 주었더니 며칠 만에 4400만원으로 불어나는 데도 위험은 별로 없는 경우는 없다. 하루 47% 수익률은 어마어마한 위험을 갖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그 위험은 6600만원 손실로 귀결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금융사기가 금융시장에 공짜는 없음을 확인시켜준 셈이다. 금융시장의 공짜 점심은 분산과 절세뿐임을 명심하자.

예금 금리가 1.5%인데 5% 수익을 주면서 예금처럼 안정적인 상품은 없다. 예금 금리와의 차이인 3.5%포인트가 그 상품에 내재된 위험이다. ‘금융상품 수익률=예금 금리+위험’이라고 보면 된다. 추가적인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금융상품 수익률이 예금 금리를 초과한 부분이 있으면 수익만 볼 게 아니라 내재한 위험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한다.

둘째, 금융시장에서는 좋은 것을 남에게 주지 않는다. 이전에 20% 수익을 준다고 써놓은 현수막을 자주 보았다. 관심을 가질 필요도 없다. 이렇게 좋은 상품을 돈까지 쓰면서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게 홍보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하루에 47% 수익이 나는 투자 비법을 가지고 있으면 아무에게도 알려 주지 않고 자기 혼자 그 수익을 누리려 하지 않겠는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 직전에 외국인 브로커가 서브프라임(subprime) 모기지 관련 채권을 팔려고 필자를 찾아온 적이 있다. 당시 자산운용사에서 채권운용본부를 맡고 있을 때였다. 채권 운용 규모도 크지 않았던 필자를 저 멀리 홍콩에서 찾아온 거 보면 이미 팔 곳에 다 판 상황이고 끝물인 듯싶었다. 좋은 물건일 리가 없다. 이런 상식적인 판단이 필자를 금융위기에서 살렸다.

마지막으로, 아니다 싶은 곳에는 아예 발을 담그지 말아야 한다. 인간의 합리성을 믿는 경제학자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에 떨어진 돈은 줍지 않는다는 우스갯말을 한다. 융통성 없는 경제학자를 풍자한 측면이 있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이를 지킬 필요가 있다. 앞에 언급한 두 가지 원칙을 벗어난 경우는 아예 관심도 두지 말아야 한다. 일단 대화를 하게 되면 상대방의 논리에 자신도 모르게 넘어갈 수 있다. 공자는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움직이지도 말라고 했다.

금융시장에는 유혹이 많다. 그리스 신화에서 사이렌은 유혹의 노래를 불러 배를 파선시킨다. 오디세우스는 선원들 귀를 밀랍으로 막고 자신은 돛대에 묶어서 이 유혹을 이기고 무사히 해협을 통과했다. 높은 수익이라는 유혹이 보이더라도 위의 원칙으로 밀랍을 만들어 귀를 막으면 금융사기와 비합리적인 고수익의 유혹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아직 금융사기를 당하지 않은 것은 타깃이 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방심과 교만은 금물이다. 공짜 점심은 없으며, 좋은 것을 내게 거저 주지 않으며, 아니다 싶으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