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신경영'이 열어놓은 산업 혁신의 길
이재용, '기술 초격차'로 미래 경쟁력 잇는다
글로벌 무대 누비며 재계의 큰 어른으로 성장
삼성그룹이 변화의 분기점에 서 있다. 고(故) 이건희 회장 서거 5주기와 이재용 회장 취임 3주년을 삼성의 지난 궤적과 향후 방향을 짚어본다. 초격차 기술, 조직 문화 혁신, 리더십까지 삼성이 다시 그리는 미래의 좌표를 들여다본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의 경영 철학은 세대를 넘어 진화하고 있다. '신경영'으로 한국 산업의 체질을 바꾼 이건희 선대 회장의 정신은, 이제 아들 이재용 회장의 '초격차 복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회장은 반도체·인공지능(AI)·바이오 등 미래 산업을 앞세워 기술 경쟁의 최전선을 다시 세우는 한편, 글로벌 외교무대에서도 산업계를 대표하는 민간 리더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세계 주요 인사들과의 연쇄 회동은 그가 '삼성의 리더'를 넘어 '한국 산업의 얼굴'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창업 3세대 경영인에서 재계의 큰 어른으로, 이 회장은 선대의 혁신 DNA를 오늘의 산업 전략으로 재해석하며 한국 경제의 방향을 다시 그리고 있다.

이건희 회장은 한국 산업 구조의 대전환을 이끈 인물이었다. 지난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양보다 질의 경영으로 바꿔야 한다"고 선언하며 시작한 '신경영'은 단순한 기업 개혁을 넘어 한국 제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을 이끌었다. 그는 임원과 해외 주재원 200여 명을 모아 수십 일간 회의를 이어가며 품질, 조직, 인사, 문화의 전면 쇄신을 주문했다. 생산라인 불량이 발견되면 즉시 가동을 멈추는 '라인스톱 제도'를 도입했고, 1995년에는 불량 무선전화기 15만 대를 전량 소각하며 품질 중심 경영을 상징적으로 각인시켰다. 반도체 사업 진출 또한 그의 결단에서 시작됐다. 사재를 투입해 반도체 회사를 인수하고, 기술 인력을 확보해 세계 시장에 도전한 끝에 삼성은 D램 세계 1위에 올랐다. 이 회장은 기업을 넘어 산업 생태계 전체를 움직인 '산업계의 리더'로 불렸다.
이재용 회장은 이 같은 선대의 혁신 DNA를 이어받아 '기술 초격차' 복원을 그룹의 최우선 과제로 세웠다. 취임 3주년을 맞은 그는 AI, 반도체, 바이오 등 신성장 산업에 집중 투자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다. "첫째도 기술, 둘째도 기술"이라 강조하며 "국적과 성별을 불문하고 특급 인재를 영입하라"고 주문한 발언에는 인재 중심의 미래 전략이 녹아 있다. '세상을 바꿀 기술', '세상에 없는 제품'에 투자하라는 그의 지시는 이건희 회장의 '인재제일주의'와 '질 경영' 철학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형태다.
내부적으로는 위기의식을 고조시키며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삼성이 독해져야 산다", "사즉생 각오로 다시 뛰어야 한다"는 최근 메시지는 선대의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선언을 떠올리게 한다. 그는 이를 기술, 사람, 문화의 3대 혁신으로 구체화해 조직의 실행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글로벌 무대에서의 행보는 한층 넓어졌다. 지난 2년간 미국, 유럽, 일본을 오가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등과 잇따라 회동했다. 단순한 공급 계약이나 수주 경쟁이 아니라, AI 반도체·로봇·모빌리티 등 차세대 산업 생태계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업계에서는 "이 회장이 선대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신산업 중심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의 외교형 리더십은 올해 들어 더욱 뚜렷해졌다. 3월 중국 베이징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전기차와 반도체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한중 경제 대화의 물꼬를 텄다. 현지 전장 부품업체와 전기차 공장을 방문하며 삼성의 전장·배터리 사업 확장 가능성도 점검했다. 이어 10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경제대화에서는 세 나라 정부와 재계 인사들을 상대로 공급망 안정과 첨단 산업 협력, 에너지 전환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민간 기업인으로 각국 산업 리더들과 실질적 협력 구상을 조율했다.
또 올해 수차례 미국 워싱턴DC를 찾아 반도체 투자와 관세 협상 현안을 직접 챙겼다. 미 정부 관계자와 주요 기업 CEO를 잇따라 만나 AI 반도체 생태계 협력, 세제·통상 완화 등 현안을 논의하며 민간 차원의 외교 지원에 나섰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삼성의 사업 기반을 지키는 동시에, 한국 산업계 전체의 이익을 대변한 행보로 평가받았다.
이처럼 이 회장은 기업 경영을 넘어 산업계를 대표하는 민간 외교 사절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국 정상과 글로벌 CEO를 잇는 통로가 되어 산업 현안을 직접 챙기며 기술 패권 경쟁 속 한국 기업의 입지를 지키는 데 나서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선대의 기술외교 리더십을 계승하고 있지만, 이제는 삼성을 넘어 산업계 전체를 대변하는 책임 있는 리더십을 보여야 할 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의 초격차 경영은 글로벌 산업 질서 속에서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지켜내는 시험대가 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이제는 재계의 큰 어른으로서 산업 간 이해를 조율하고, 산업과 국가 이익을 함께 보는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
![[초격차의 길] "국적·성별 묻지 않는다"…이재용, 인재 전쟁 나섰다](https://img.newspim.com/news/2025/09/18/2509181310484030.jpg)
![[이재용 취임 3주년]'사즉생' 이재용…사법 족쇄 벗고 종횡무진](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4/09/rcv.YNA.20250409.PYH2025040910330001300_P1.jpg)
![[초격차의 길] 반열 오른 삼성 HBM·파운드리…이재용의 '반도체 복원' 시나리오](https://img.newspim.com/news/2025/03/18/2503180956060840.jpg)
!["맞춤형 해결사"…최태원 회장 책에 생뚱맞은 '고양이 그림' 왜 [월간중앙]](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3/9f67bf54-324a-4fd8-996c-1a08f20ffae0.jpg)
![[전문] 조원태 회장 "트럭 한 대로 시작한 한진, 100년 기업으로 달린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0/23/25102316591273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