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경제신문 = 나희재 기자] 저축은행과 카드사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연체액이 급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권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당국의 적극적 대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24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국내 금융업권별 대출 및 연체 규모’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생명보험·카드)의 연체 규모는 총 23조8000억원(130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금융권 연체 규모는 지난 2021년 말 7조8000억원에서 2022년 말 10조5000억원, 2023년 말 16조9000억원로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말의 경우 20조 6000억원으로 1년사이 20% 가까이 급증했다.
특히 저축은행업권의 경우 2021년 말 2조5000억원에서 3년여 만에 26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금융권 전체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업권의 전체 연체 규모는 9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8조3000억원 대비 9.6% 증가했다.
이 중 기업 대출 연체액은 6조9000억원, 가계 대출 연체액은 2조1000억원을 차지했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에 대한 정리가 지연되면서 연체 증가세가 꺾이지 않은 탓으로 해석된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PF 대출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부실채권매입전문회사(NPL) 자회사 설립, 3차 공동펀드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타 업권의 경우, 2025년 1월 말 기준 은행업권 연체 규모는 12조7000억원, 전업 카드사는 1조5000억원, 생명보험업권은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강민국 의원은 “올해 들어 금융업권 대출 연체 규모가 가계, 기업 할 것 없이 줄지 않고 상승해, 최고치를 갱신했다"면서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 및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금융당국의 적극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금융 당국은 현장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기업 대출 관련 연체 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 유도 및 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에 대한 종합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희재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