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미리 긴다 … 충당금 -5000억, 기재부 배당 +5000억

2025-02-24

매해 늘린 대손충당금, 돌연 축소

충당금 줄며 이익 늘려... 배당성향 높일 전망

노조 "기재부 고액 배당에 내부 분노"

[디지털포스트(PC사랑)=김호정 기자 ] IBK기업은행이 올해 최대 주주인 기획재정부를 상대로 5000억원 규모의 배당을 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세수 부족을 메꾸기 위해 배당 성향을 확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속적인 경기침체로 올해 중소기업 대출에 따른 고정이하여신 및 연체율 증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배당 확대가 재정 건전성을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기재부는 오는 25일 배당협의체를 열고 기업은행 등 정부 배당 기업들에 대한 배당 성향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업은행의 최대 주주인 기획재정부는 59.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기재부는 기업은행에 2021년 30.7%, 2022년 31.2%, 2023년 32.5% 배당 성향을 적용해 왔다. 이에 따라 기재부가 받은 배당금도 매년 확대되며 2021년 3701억원, 2022년 4555억원, 2023년 466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5000억원에 달하는 배당금이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자기자본비율(CET1)이 12.0% 미만일 경우 배당성향을 35%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며 "올해 배당성향은 별도 순익 기준 34.5%로 전년 대비 2.0%p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당배당금(DPS)는 약 1040원으로 추정되며 기말 배당수익률은 연말 종가 기준 약 7.3%로 은행 중 가장 높을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경기 부진으로 내년에 건전성 관리가 금융권의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기업은행이 재정 건전성 악화에도 무리하게 배당 확대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기업은행의 특성상 중소기업 대출이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부실 규모가 늘어나는 만큼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그러나 기업은행은 전년 대비 고정이하 여신비율과 연체율이 증가하는데도 전년보다 대손충당금을 적립을 낮췄다.

기업은행은 그간 대손충당금으로 2021년 9564억원, 2022년 1조4853억원, 2023년 2조576억원을 적립하며 꾸준히 금액을 늘려왔다. 지난해 대손충담금에는 1조5038억원을 쌓아 전년 대비 적립액이 축소됐다.

반면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2021년 2조2970억, 2022년 2조4750억원, 2023년 3조1991억원, 2024년 4조1970억원으로 계속 불어나고 있다. 고정이하 여신 비율 역시 2021년과 2022년 각 0.85%, 2023년 1.05%, 2024년 1.32%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행이 올해 대손충당금 적립액을 줄인 건 최대 주주인 기재부의 배당 수요 확대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대손충당금이 줄어들면 회계상 수익이 늘어나 배당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업은행 내부에서도 기재부에 대한 대규모 배당과 재정 건전성 관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업은행 노동조합은 지난해 12월 첫 단독 파업에 돌입하며 연봉 인상과 보상휴가 현금 지급, 직급수당 증액 등을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노조 요구 사항 대부분은 기재부 및 금융위 승인이 필요한 사항인데 기재부에서는 이와 관련한 논의조차 시작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행의 기재부에 대한 막대한 배당금 지급은 노사 갈등이 심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노조뿐만 아니라 기업은행 내부에서는 기재부 고액 배당에 대한 분노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는 기업은행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정부에서 이를 보존하기 때문에 다른 시중은행과 비교해 처우 개선을 논의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기업은행이 정부의 부족한 세수를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배당금은 정부 협의 후 결정되는 사안으로 기재부 배당을 늘리기 위해 대손충당금 규모를 줄인 것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대손충당금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긴 했지만 이는 재작년에 부동산 PF 등에 대한 손실 흡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추가 적립했기 때문"이라며 "기존에 적립 금액이 충분해 올해 대손충당금 규모가 축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정 건전성 관리 우려에 대해서는 "조기 경보 및 신용위험 특별 점검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건전성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디지털포스트(PC사랑)’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