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원 넘는 '금수저'까지…은행 미성년 계좌 잔액 늘어났다는데 이유는?

2025-02-23

주요 은행의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잔액이 4년 만에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성년 예·적금 계좌(원화·외화 포함) 잔액은 7조 8090억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2023년 말의 7조 4661억 원보다 3429억 원(4.6%) 늘었고, 2020년 말의 6조 4977억 원과 비교하면 1조 3114억 원(20.2%) 증가했다.

지난해 말의 예·적금 잔액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1000만 원 미만'이 467만 9248만 개(4조 6592억 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1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미만' 15만 3348개(2조 4896억 원), '5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3525개(2202억 원), '1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 1727개(2899억 원), '5억 원 이상' 145개(1502억 원) 순이었다.

반면 미성년자의 예·적금 계좌 수는 지난 2020년 말 약 527만 개에서 2023년 말 498만 개, 지난해 말 484만 개로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계좌 당 잔액 평균은 약 161만 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약 150만원)보다 7.6%, 2020년 말(약 123만원)보다는 30.9% 불어났다.

5억 원 이상 고액 예·적금 계좌 수는 지난해 말 145개로 전년 말의 136개보다 증가했다. 잔액도 1348억 원에서 1502억 원으로 154억 원(11.4%) 늘어나는 등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계좌당 평균 잔액은 10억 원이 넘었고, 지난해 8월 기준 잔액이 100억 원을 넘는 계좌도 있었다.

진 의원은 "미성년자 계좌를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 금액 이상의 예·적금에는 증여세 신고 기준 강화를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