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전환] "AI로 게임 개발은 기본"…게임사 넘어 AI 선도기업 도약

2025-11-07

차세대 게임 개발 넘어 전사 AI 활용 역량 강화 나서

NC AI, 게임에 국방 분야 혁신까지 이끄는 기술 개발

크래프톤, 'AI 퍼스트' 전환 선언…AI에 공격적 투자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국내 게임사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게임 개발을 비롯해 업무 전반에서 AI를 활용을 강화하며 'AI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순한 게임사가 아닌 AI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악하겠다는 전략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게임사들은 게임 캐릭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사운드, 텍스트, 게임 내 비플레이어 캐릭터(NPC) 생성 등 게임 개발 및 콘텐츠 제작부터 고객 서비스(CS)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 10월 1일 발간한 '2025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게임산업에서 업무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비율은 전년 동기 30.5%에서 41.7%로 증가했다. 특히 전사적으로 AI를 도입하는 비율은 43.8%로, 타 산업군에 비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AI 중심' 생태계 확장하는 AI 전담 조직

엔씨소프트(NC)는 2011년 2월 'AI 연구센터'에서 출발한 AI 전담 조직을 올해 2월 AI 전문기업 NC AI로 분사했다.

NC AI는 독립 6개월 만에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의 컨소시엄 주관사로 선정되며 14년간 쌓아온 내공을 보여줬다. 엔씨소프트의 대표 게임 '리니지', '아이온' 시리즈에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바르코'를 지원하고 있으며 게임을 넘어 미디어, 커머스, 마케팅, 제조, 로봇, 국방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창립 28년 만에 사명 변경을 포함한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소프트'를 떼고 '엔씨(NC)'로 변경해 해외 법인까지 아우르는 브랜드 통합을 이루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프로야구단 'NC 다이노스'를 비롯해 NC AI와 해외 지사들은 'NC' 기반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지난달 신입사원 공개채용에서는 '엔씨 컴퍼니(NC Company)' 통합으로 그룹 단위 채용을 진행했으며 채용 전 직군에서 지원자의 AI 활용 역량을 확인하는 'AI 리터러시 역량 검증 체계'도 처음으로 도입했다.

2022년 AI 전담 연구조직 '딥러닝 본부'를 설립한 크래프톤은 최근 '크래프톤 AI'로 명칭을 바꾸고 'AI 퍼스트(AI First)' 기업 전환을 선언하며 체질 전환에 나선다.

크래프톤은 매년 3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임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한다. 또 내년까지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엔비디아 블랙웰300(B300) 기반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AI 플랫폼과 데이터 통합·자동화 기반을 완성해 전사 AI 운영 인프라를 갖출 예정이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서 SK텔레콤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크래프톤은 5000억원 파라미터 규모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AI 자체 개발과 활용에도 앞장선다.

김창한 크래프톤 의장은 "에이전틱(Agentic) AI를 중심으로 업무를 자동화하고 구성원은 창의적 활동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AI 중심 경영 체계를 본격화할 것"이라며 "AI를 통해 구성원 성장을 촉진하고 조직 도전 영역을 넓히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넥슨은 2010년 AI·데이터 분석 조직에서 출발한 '인텔리전스랩스'를 2017년 부문급으로 격상했으며 현재 약 800명 규모로 운영 중이다.

넷마블은 2018년 AI 연구 조직 '넷마블 AI 레볼루션 센터(Netmarble AI Revolution Center, NARC)'를 설립했으며 올해 초 생성형 AI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AI&Tech랩'을 별도로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스마일게이트는 2020년 'AI 센터'를 설립했고 컴투스는 연구개발(R&D) 조직 내에서 AI 기술 개발을 진행하다 올해 3월 전사적인 AI 전환(AX) 전략을 공식화하며 'AX HUB'를 출범했다.

이 밖에도 펄어비스는 R&D 투자를 통해 자체 개발 엔진인 '블랙스페이스'의 고도화에 힘쓰고 있다.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차세대 게임 개발

특히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과 협업해 차세대 게임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개발 스튜디오 빅파이어 게임즈가 내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인 신작 '신더시티'에 엔비디아 DLSS 4 멀티 프레임 생성 & 레이 리컨스트럭션, 엔비디아 리플렉스 등 지포스 RTX GPU 기반의 최첨단 그래픽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기술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고 '신더시티' 개발 과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와 애저 오픈AI(Azure OpenAI) 기술을 도입하고 코파일럿 스튜디오를 활용한 공동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크래프톤은 지난달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엔디비아와 공동 개발한 AI 협업모델 CPC(Co-Playable Character, 상호작용할 수 있는 캐릭터)인 '펍지 앨라이(PUBG Ally)'를 공개했다.

'펍지 앨라이'는 엔비디아 에이스(ACE) 기술로 구축된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 모델(On-device SLM)을 기반으로 게임 이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AI 캐릭터다. 내년 상반기 '펍지 배틀그라운드'에서 아케이드 모드로 선보일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게임산업에서 AI 전환은 미래가 아닌 현재 진행형"이라며 "AI 도구를 활용해 1시간짜리 업무를 10분으로 줄이는 등 일하는 방식은 AI를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shl2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