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하반기 총경급 인사가 수개월째 지연되면서 조직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통상 7월 말~8월쯤 이뤄지는 총경 보직 인사가 현재까지 감감무소식이라 내부의 피로감이 클 뿐 아니라 책임자가 확정되지 않아 정책 동력이 다소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하반기 경찰 총경급 인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종료되고 난 이후에야 발표날 것으로 보인다. APEC 이후에도 인사 발령이 언제 날지는 예측만 난무한 실정이다.
경찰 정기 전보 인사는 매년 상·하반기 정기적으로 진행되며 하반기 인사는 7월 말~8월에 나는 게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이례적으로 경무관 전보 인사가 두 달 넘게 지연돼 이달 24일 발표 났고, 총경급은 그보다도 밀리고 있다.
‘경찰의 꽃’으로 불리는 총경은 경찰 계급 중 치안총감·치안정감·경무관 다음 네 번째로 높은 계급으로, 일선 경찰서장과 본청·시도경찰청 과장급의 직무를 맡는다.
책임 권한이 큰 총경 인사가 나면 조직 내 정책 구상과 집행 방안이 상당 부분 바뀔 가능성이 커 현재 내부에선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특히 경무관 전보 인사가 난지 얼마 되지 않아 총경 인사까지 대폭 이뤄지면 혼란은 불가피하다.
한 경찰 관계자는 “책임자급인 총경 인사가 나지 않다 보니 조직 전반의 정책 추진 동력이 떨어지는듯 한 느낌”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또다른 경찰 관계자는 “총경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인사가 나면 조직 내 정책의 구체적인 방향성이나 업무 스타일도 새 책임자의 스타일에 맞춰 많이 바뀔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실제 경찰 조직에도 인사 발령 연기의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을 준비하기 위해 경찰청 내 설치되는 ‘자치경찰기획단’은 아직 정식 출범을 하지 못했다. 해당 기획단은 경무관급 단장을 중심으로 총경급 2개 과, 경정급 3개 계 등 약 20명 규모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미 국가경찰위원회의 심의·의결도 받았다. 그러나 아직 경무관급 단장이 확정되지 않아 출범이 연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경찰 인사가 이례적으로 밀리는 데엔 새 정부 출범의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경무관 인사에서는 백해룡 경정이 외압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했던 일부 경무관들이 자리를 옮기면서 추후 총경 인사도 전 정부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했던 경찰관을 외곽으로 보내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온다.
실제 윤석열 정부 시절 대통령실 행정관으로 파견됐던 김찬수 경무관은 광주청 공공안전부장으로 이동했고, 조병노 전남청 생활안전부장은 전주완산경찰서장으로 전보됐다. 김 경무관은 영등포경찰서장 재직 당시 형사과장이던 백 경정에게 용산(대통령실)을 언급하며 마약 밀반입 사건 수사에 개입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고, 조 부장은 백 경정에게 수사 결과 보도자료에서 인천세관 직원 연루 내용을 제외해 달라고 요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단독] 검찰총장 대행 “보완수사로 하루 50건씩 진범 가린다”는데···관련 통계는 “없다”](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9/news-p.v1.20250908.ddb1bad19d8d4fc5863c0a42d39bbb2f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