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 정책협약식에서 김동명 위원장과 대화 도중 미소를 짓고 있다. 2025.5.1/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근로자의 날' 법정기념일 명칭을 '노동절'로 바꿔 "노동 존중의 가치를 바로 세울 것"이라고 1일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SNS(소셜미디어)를 통해 "일하는 사람이 주인공인 나라,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 초기업단위 교섭 활성화, 단체협약 효력 확장으로 노동 존중 대한민국의 시대를 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미완의 노동과제를 해결하고 미래 노동 대전환을 대비해야 한다. 일하는 사람 모두가 존중받고 노력한 만큼 합당한 보상을 받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며 "모든 일하는 사람에게 보편적 권리를 보장하고 플랫폼 중개 수수료율 차별 금지와 수수료 상한제 도입 등으로 비전형 노동자들의 행복한 일터 문화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저출생·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정년 연장을 사회적 합의로 추진하고 노조법 2·3조를 개정(노랑봉투법)해 무분별한 손해배상 청구와 가압류로 인한 고통을 줄이겠다"며 "지방 공무원들에 노동 관련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하고, 노동법원 설립을 추진해 분쟁 해결이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시즌2(청년미래적금) 시행 △생애 1회 구직급여 지급 △'아프면 쉴 권리' 보장하기 위한 상병수당 시범사업 단계적 확대 등도 약속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서도 노동 가치 제고를 강조하면서도 "기업이 있어야 노동이 있고, 노동자가 있어야 기업도 있는 것"이라며 "(기업뿐 아니라 노동계도) 분열과 대결의 언어를 버리고 우리 사회가 진정한 통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후보는 "반도체 특별법 관련해서 논의할 당시 기업은 '추가 근무에 대한 수당 등을 모두 지급할 테니 연구개발(R&D) 직종만 근무 시간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구했고, 이에 노동계는 '총 노동시간을 늘리기 위함이며 노동의 대가를 주지 않으려 한다'고 의심하며 이를 반대했다"고 "서로를 믿지 못하고 대화하지 않아 결국 저도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서로 망하자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다 함께 잘 되자고 이러는 것 아니겠나. 더 좋은 기업을 만들어 더 튼튼한 일자리 만들려고 모두가 노력하지 않나"라며 양측의 대화를 촉구했다. 이어 "우리는 모두 노동자이거나 노동자의 가족"이라며 "대한민국에 민주주의의 봄이 오고 있는 것처럼 노동자와 서민의 삶에 따뜻한 햇볕이 비추고 비로소 완성될 진정한 봄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