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시대 데이터센터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데이터센터의 탄소중립 중요성이 커진다.
정부 역시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탄소중립을 실현하도록 각종 법제도 개선을 비롯 인센티브 등 지원책을 고민할 방침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은 '통신분야 탄소중립 법제 연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통신분야를 비롯해 데이터센터 탄소중립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과 정책 제안 아이디어 등을 연구 중이다.
KCA관계자는 “데이터센터의 경우 폐기되는 서버,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가운데 재활용될 수 있는 요소가 있어 탄소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며 “통신사와 데이터센터 업계가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시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탄소중립까지 달성하도록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를 전문업체(한국스콥쓰리협회)와 함께 준비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KCA는 앞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통신사·데이터센터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디지털 인프라 자원순환 실태 조사를 진행한바 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인프라 폐장비가 광물 재자원화와 탄소감축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
일례로 데이터센터 서버와 통신 폐장비를 분석한 결과, 이들 디지털 인프라의 kg당 탄소배출 감축효과가 일반 폐가전의 3~6배로 분석됐다.
KCA는 이 같은 폐장비 재활용을 비롯해 데이터센터와 통신산업 전반 탄소중립을 위한 법제도를 도출할 계획이다.
KCA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유럽 등 선진 사례도 분석해 국내 적용 가능한 부분도 살펴볼 것”이라면서 “내년 초께 연구 용역이 완료되면 관계부처와 함께 구체적 실행 방안, 계획 등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업계는 정부의 법제도적 지원이 이어질 경우 탄소중립이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업계는 이미 데이터센터 신축 시 탄소중립 관점에서 여러 요소를 살피고 있다. 특히 AI 시대를 맞아 고전력을 요하는 데이터센터가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센터 설립때부터 태양광·지열 등을 활용한 탄소중립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위한 RE100 달성, 신재생 에너지 지용 확대는 데이터센터 사업자 모두 주력하는 부분”이라며 “정부의 인센티브 혹은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목표 조기 달성을 비롯해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