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매출 증가 효과에도 “기대에 못 미쳐”…2차 소비쿠폰 선점 경쟁↑
일부 상품 매출증가율은 ‘착시’, 사용처 분산에 장보기 수요 흡수도 한계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불황에 빠진 편의점 업계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소비쿠폰 지급 후 실제 매출이 증가했지만, 단발성 효과에 증가율도 한 자릿수에 그쳐 부진을 뒤집진 못했다는 평가다.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있지만 금액은 줄고 사용처는 확대돼 수혜효과는 더 줄어들 전망이다.

17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4사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앞두고 대규모 할인 행사에 돌입했다. 2차 소비쿠폰이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으로 전체 규모가 줄어든 반면, 사용처는 일부 확대되면서 수요 선점의 중요성이 한층 커졌기 때문이다.
1차 소비쿠폰 지급 당시 편의점 업계는 대표적인 ‘수혜 업종’으로 기대감을 모았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이 사용처에서 제외되면서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예상이었다. 실제로 GS25의 경우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2주간 국/탕/찌개 293%, 김치 75%, 롤티슈 64% 등 신선식품·생활용품 등 매출 증가폭이 높게 나타났다. CU 역시 소비쿠폰 지급 후 한달간 즉석밥 37%, 라면 32.6%, 음료 32.2% 등 민생 관련 품목 매출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하지만 일부 품목이 높은 매출 증가율을 기록한 것과 달리, 지난달 편의점업계 전체 매출은 약 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일부 상품군의 경우 기존 매출 비중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제한적인 수요 증가에도 증가율이 급증하며 착시효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쟁여두기’가 가능한 가공식품 등을 중심으로 실제 매출이 증가했으나, 과거 성장세와 비교하면 소비쿠폰 효과에도 불황을 뒤집진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 후 반짝 매출 효과를 누리긴 했지만, 학원 등으로 소비처가 분산되며 코로나19 당시 지급됐던 재난지원금 만큼의 효과를 보진 못했다”면서 “육류와 같은 상품 증가율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원래 편의점에서 메인 상품이 아닌 만큼 전체적인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차 소비쿠폰 지급 후 2주간 편의점에서 사용된 금액은 약 9.7%를 차지했다. 대중음식점 41.4%, 마트·식료품 15.4%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지만, 5만5000여개에 이르는 전국 편의점 점포수로 인해 점당 매출증가액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육 상품이 저조한 구매건수를 기록하는 등 ‘장보기 수요’ 흡수에도 한계를 드러냈다. 신선식품을 편의점에서 구매할 품목으로 고려하지 않는 소비자 비중이 높았던 셈이다.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편의점 업계는 2차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수요 선점을 위해 대규모 할인 행사에 나섰다. 추석을 앞두고 상품 가격경쟁력을 강화하고 편의성·접근성을 강조하며 매출 활성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존에 판매 비중이 높지 않았던 명절 선물세트에도 한층 힘을 기울인다. 2차 소비쿠폰 지급액인 10만원에 맞춘 실속형 선물세트 등을 마련해 명절 근거리·긴급 수요를 저격한다는 계획이다.
한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1차 소비쿠폰 지급 후 의미있는 매출 증가율을 기록한 만큼 2차 소비쿠폰 지급 후에도 선물세트 등을 포함해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고물가와 경기침체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실속 위주 상품과 생활경제 밀착 상품 위주로 구성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