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khan.co.kr/news/2025/02/10/news-p.v1.20250207.736f66b7c03044c78a915077f17be3be_P1.webp)
“가자지구 주민을 얼마나 ‘사람’으로 보지 않길래 저런 말을 하는 걸까.”
이동화 사단법인 아디 사무국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 구상’을 들었을 때 단박에 든 생각이다. 아디는 국내 최초 아시아 분쟁지역 지원 단체다.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나블루스에 사업지를 두고 있다. 이 사무국장은 2006년 가자지구에 처음 발을 디딘 이후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을 오간 것만 10여차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공동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악하고 중동의 리비에라(휴양지)로 개발하겠다”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주변국으로 이주시키겠다”고 했다. 이 사무국장은 지난 7일 서울 성동구 아디 사무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가자지구에서 수만명이 넘는 사람이 죽었다”며 “이제야 폐허가 된 ‘집터’로 돌아가는 이들에게서 또 터전을 뺏고 리조트를 짓겠다는 게 말이 되나”라고 평했다.
이 사무국장은 15개월 넘게 이어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사이의 ‘전쟁’이 “사실상 이스라엘군의 일방적인 폭격과 집단학살”이었다고 말한다. 2023년 10월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남부 기습 공격이 빌미가 된 것은 맞지만, 그 이후 양상은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를 봉쇄하고 도시를 초토화하는 형태였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집단 학살(제노사이드)을 벌인 혐의로 국제사법재판소(ICJ)의 조사를 받고 있다.
이 사무국장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 휴전이 시작되기 전인 지난 1월 4일부터 열흘간 팔레스타인 서안지구와 이스라엘 일부를 돌아봤다. 현지 단체의 초청을 받아서 간 것이었는데, 서안지구 중북부엔 접근이 가능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지난해 말부터 나블루스 등 중북부 지역에 이스라엘군의 군사공격이 강화됐다”며 “전선을 사이에 놓고 양측이 교전하는 것이 아니라, 서안지구에 주둔한 이스라엘 군이 공격을 위해 도시를 봉쇄하고 건물을 폭파하는 일들이 벌어졌다”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그는 이스라엘 텔아비브 항구도시 야파를 찾았을 때 본 ‘평온한 풍경’이 스산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고 했다. 해변에서 요가와 비치발리볼, 축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야파로부터 직선으로 67㎞쯤 남쪽엔 포화로 폐허가 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가 있다. “근거리에서 수만명이 죽어 나가는 걸 전혀 개의치 않는 풍경에 기분이 가라앉았어요.” 가자지구가 터전이던 ‘사람’들은 안중에 없는 트럼프의 ‘가자지구 휴양지화’ 구상에 이 사무국장은 기이하게 평화롭던 야파의 해변을 떠올렸다. 그는 “트럼프의 발언은 주민을 생명체가 아니라 개발의 걸림돌로 보는 것”이라고 했다.
이 사무국장은 트럼프의 구상이 ‘돌발발언’처럼 보이더라도 숨은 뜻을 잘 살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를테면 가자지구에 이스라엘 군이 주둔할 빌미를 줄 수 있다”며 “퇴거 명령을 하는 등 그래도 절차를 갖췄던 이전과 달리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가자지구에서 몰아내는 ‘인종청소’가 빠르게 진행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가자구상’으로 2차 휴전 협상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이 사무국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계속 전달할 것”이라고 했다. 아디가 팔레스타인 현지에서 여성 언론인 양성 사업을 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그는 “인간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에 놓인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편견 없이 본다면 그 누구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제가 만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한 명도 빠짐없이 ‘가족 중에 사망자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사무국장은 “절망의 농도가 짙지만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살아남았고 앞으로도 살아갈 것’이란 희망을 말하더라”며 “이 절박한 목소리를 거리에서뿐 아니라 한국 정부와 국회 등에도 가닿게 하고 싶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