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세예스24그룹은 2030년까지 연결 기준 매출액이 현재의 약 2배인 5조 원을 달성하겠습니다.
김석환 한세예스24홀딩스 부회장은 29일 베트남 호치민에서 개최한 ‘2025 글로벌 기업설명회(IR)’에서 이 같은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그룹의 모태이자 주력 계열사인 한세실업의 핵심 공장이 위치한 베트남을 글로벌 IR 장소로 삼은 것이다. 김동녕 한세예스24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 부회장은 그룹 지주사 한세예스24홀딩스의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김 부회장은 그룹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한세모빌리티를 그룹에 신규 편입해 미래 성장기반을 강화했다”며 “패션, 문화, 교육, 모빌리티를 아우르는 사업 포트폴리오로 미래 지향적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2030년까지 5조 원의 매출액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세예스24홀딩스는 지난해 2조 8309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지난해 인수한 한세모빌리티 등의 실적이 반영되면서 매출액 3조 3666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최소 배당금을 주당 250원으로 설정하고 배당기준일을 정기주주총회 이후로 설정해 주주들의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등의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하겠다”며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해 그룹의 중장기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투명하고 책임 있는 경영을 통해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높이고 기업 가치를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세실업은 중미 지역 수직계열화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의 상호 관세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한세실업은 과테말라 미차토야 지역에서 원사·원단·봉제를 모두 생산하는 수직계열화 작업이 내년 3분기 중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글로벌 바이어들이 디자인, 생산, 물류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을 선호하는 만큼, 수직계열화를 통해 관세 혜택은 물론 니어쇼어링(근접지 생산)의 이점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김동녕 회장의 차남인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은 “아시아에서 이뤄낸 원단·봉제 수직계열화를 중미까지 확대해 특정 국가의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고객들의 선택지를 다양화하면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년째 적자를 내고 있는 한세엠케이는 비효율 브랜드를 축소하고 키즈 브랜드의 일본 진출을 확대하는 등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재편한다. 김석환 부회장은 “한세엠케이는 부채가 많이 증가해 심각하게 보고 대응 중”이라며 “수익성이 나는 아동 브랜드를 제외한 일부 브랜드를 정리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한세모빌리티는 내년에 우즈베키스탄 공장 설립을, 2027년 미국 미시건 공장 확장 이전을 완료하며 유럽 공장 설립도 추진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고객 다변화 전략에 나선다. 예스24는 내년 상반기 파주 스마트 물류센터를 업계 최대 규모인 연면적 1만 6000평으로 오픈한다. 물류센터는 첨단 자율이동로봇 544대 등을 도입해 연간 3000만 건 이상의 물류를 처리하는 동아시아 최고 수준의 스마트 센터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석환 부회장은 올해 발생한 예스24 해킹 사태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는 “고객과의 관계에서 신뢰 문제가 발생해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이어 “해킹 사태 이후 내부적으로 현재 레벨의 해킹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솔루션을 도입했다”며 “앞으로 비슷한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최고 수준의 보안을 도입해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우리銀, ‘올해 최대 규모’ 2.6조 인수 금융 주선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78API8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