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동절기 랠리에 오른 '중국 석탄주'①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

2025-11-06

동절기 수혜 '석탄주', 상승배경과 지속가능성 진단

당국 단속에 공급 둔화+석탄 비축 수요 조기 확대

석탄가격 상승세 지속 가능성에 관한 기관 낙관론

이 기사는 11월 6일 오전 10시2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동절기 최대 수혜 영역으로 꼽히는 석탄주가 예년보다 빠르게 찾아온 추위에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3분기 이후 당국의 광산 초과생산 단속 등의 영향으로 국내 석탄 공급 증가율이 둔화되고 10월 이른 추위에 비축 수요가 조기에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흐름이 남은 4분기에도 지속되며 12월 공급부족이 발생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수급 국면 속 석탄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업계 전반의 실적 기대치도 높아지고 있고, 그 결과 석탄주의 주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최근 A주 시장에서 '고수익, 고현금흐름, 고진입장벽, 고배당, 고안전마진'이라는 '5고(高)'의 특성을 띄고 있는 석탄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현지 증권사들은 특히 주가 탄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저평가 종목에서 투자기회를 찾는데 집중하는 분위기다.

◆ '석탄 가격 상승세', 그 배경과 지속 가능성

하반기 들어 석탄 가격은 공급 제한 정책과 겨울철 난방 수요가 맞물리며 큰 폭으로 올랐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에 따르면 10월 31일 기준 친황다오(秦皇島)항에서 Q4500, Q5000, Q5500(kg당 발열량이 5500kcal인 품종) 발전용 석탄 현물 거래가는 톤(t)당 588위안, 678위안, 770위안으로 집계됐다. 7월 이후 각각 21.24%, 23.27%, 23.99% 상승한 수치다.

이번 석탄 가격 상승세는 공급 축소와 수요 상승이 맞물린 결과다.

올해 7월 10일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과잉생산 단속 팀 구축 등에 관련한 공문을 발표하고, 석탄광산 생산 실태 조사에 나섰다. 또한 응급관리부는 올해 11월부터 전국 31개 성과 자치구에 안전생산 점검 팀을 파견해 연말까지 집중 점검을 진행 중이다.

겨울철 난방 수요가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석탄 수요도 늘고 있다.

중국 북부 지역은 강한 한파로 일찍부터 난방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발전·난방용 석탄 수요가 현저히 증가했다. 올해 10월 17일부터 22일까지 하반기 가장 강력한 한랭 기류가 계속 남하하면서 화북 지역 다수가 빠르게 겨울로 진입했고 산시(陜西)성, 닝샤(寧夏), 허베이(河北) 등 일부 지역이 조기 난방을 시작해 난방 및 전력 부하가 급상승했다. 이는 석탄 가격의 상승세를 지탱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2025년 석탄 연간 업데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전력 및 산업 분야에서 석탄 수요를 지탱하는 요인은 여전히 존재하며 하반기 전세계 석탄 수요가 완만히 회복되면서 2025년 전세계 석탄 수요는 전년 대비 0.2%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여전히 전세계 석탄 수요 흐름을 주도할 전망이다. 전력 산업은 계속해서 석탄 수요를 이끄는 추진 동력의 역할을 하면서 중국의 석탄 화력 발전량은 2025년 하락한 후 2026년에 소폭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신증권(中信證券)은 4분기 항구 발전용 석탄 평균가격이 3분기 대비 15%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석탄 가격의 고점은 톤(t)당 850위안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점결탄 가격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4분기 평균가격은 전분기 대비 t당 200위안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만약 당국의 석탄 광산 초과생산 단속 등 공급 축소 정책이 더욱 강하게 시행될 경우, 석탄 가격이 예상치를 상회할 여지도 있다고 설명했다.

개원증권(開源證券)은 현재 발전용 석탄과 코크스 가격이 여전히 역사적 저점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반등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당국의 초과생산 단속 정책 시행으로 생산량이 줄어들고, 수요 측면에서는 '금구은십(金九銀十, '금같은 9월·은같은 10월'이란 뜻으로 중추절과 국경절 연휴 기간인 9월과 10월 즈음해 소비 및 투자심리가 개선된다는 뜻에서 나온 말)' 성수기를 맞이해 비발전용 석탄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석탄 수급의 기본적인 펀더멘털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발전용 석탄, 비발전용 석탄 모두 가격의 상승 탄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 중에서도 발전용 석탄은 장기계약 메커니즘의 복원과 '석탄 및 화력발전 기업의 이익 공유' 논리 등이 가격 상승을 지탱하는 배경이 될 것이다. 반면 코크스는 시장화 정도가 높아 수급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더 큰 가격 탄력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화복증권(華福證券)은 석탄이 갖고 있는 주요 에너지원으로서의 지위를 단기간에 바꾸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거시경제의 약세가 일시적으로 석탄 수요에 영향을 미쳤지만, 공급이 경직적이고 비용 상승이 석탄 가격의 하방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있어 석탄 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 석탄 산업 체질개선 위한 '정책적 지원'

중국 당국의 주도 하에 전통산업 섹터의 대표주자 중 하나인 석탄산업은 첨단기술 도입 및 친환경 발전을 도모하며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당국은 지속적으로 석탄 산업의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위한 정책을 마련해왔고, 석탄 산업은 새로운 상승 주기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난(河南)성 정부는 최근 '허난성 석탄 산업 품질 향상 및 고도화 행동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행동계획은 △석탄 자원 배분 최적화 △광산 장비 기술 수준과 생산 효율의 제고 △1억 톤(t) 수준의 석탄 생산량 안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석탄의 청정 개발 및 이용 수준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친환경 발전의 성과를 한층 더 높일 예정이다. 석탄광산의 스마트화도 꾸준히 추진하면서 스마트화 기술에 기반한 석탄 생산량의 비중을 65%까지 높일 계획이다.

<동절기 랠리에 오른 '중국 석탄주'② 기관의 투자전략 조언>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