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이 올해 하반기 우리나라 수출이 반도체·조선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하고는 더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고관세 여파로 수출 부진이 심화하며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1% 내외 수준으로 하향 조정됐다.
산업연구원은 27일 ‘202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 올해 연간 수출은 전년 대비 2.1%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전년 수출이 2.2% 증가한 것과 비교해 감소 전환할 것이란 추정이다.

13대 주력산업을 분야별로 구분했을 때 지난해 크게 성장한 정보기술(IT)은 올해도 인공지능(AI) 성장 등으로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 최대 주력상품인 반도체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의 빠른 성장, 고부가 제품의 매출 확대, 반도체 단가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가 예상됐다. 상승기를 맞이한 조선산업 역시 고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대량 인도 등으로 10.2%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내다봤다.
그러나 이외 산업은 관세 리스크 상승 및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 품목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는 데다 현지 생산이 국내 수출을 대체하면서 전년 대비 8.0%의 감소가 예상됐다. 철강 역시 관세 및 미국 자동차 수요 부진 영향으로 하반기에 수출물량이 4.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고 이차전지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이 확대되면서 국내 수출이 전년 대비 3.2%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이차전지는 대중국 반사이익도 소폭 기대된다고 산업연구원은 덧붙였다.
하반기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수입액은 지난해보다 2.1%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524억달러 흑자를 기록, 전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관측했다.
앞서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전망한 바 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미국 실물경기 불확실성이 커졌고 국내 정치상황도 급변하면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상반기 0.5%, 하반기 1.4%로 연간 1.0%를 기록할 것으로 하향했다. 홍성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 시나리오에서 G2 무역분쟁 파급효과와 무역·통화 정책 등 상하방 리스크는 있고 현재는 올해 금리 인하를 2번 정도 전제했다”며 “(실질 GDP 성장률이) 정확히는 0.95% 정도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망은 미국이 우리나라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현재와 같이 30%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을 전제해 도출됐다. 산업연구원은 “하반기에는 통상리스크 심화, 회복 둔화로 대부분 산업에서 생산이 감소하고 상반기 선주문 영향이 중첩될 것”이라며 “전에 산업계 내수 부진이 문제였다면 이번엔 수출 부진이 문제”라고 밝혔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