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회장 “카카오, 오픈AI에 기술 종속 가능성 우려”
글로벌 빅테크 협력에서 ‘종속’ 아닌 ‘독립성 확보’ 필요
[녹색경제신문 = 문슬예 기자] 카카오가 오픈AI와 손잡고 AI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 가운데, 업계에서는 기술 종속을 피하고 국내 AI 생태계를 강화하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인공지능협회 김현철 회장은 6일 "오픈AI는 글로벌 AI 시장에서 기술력과 자본력을 갖춘 기업이고 카카오는 국내 서비스 플랫폼에서 강점을 지닌 기업이지만, 협력 과정에서 OpenAI의 기술적 우위에 종속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단순한 API 연계를 넘어, 카카오가 자체적인 AI 기술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픈AI의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자체적인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AI 서비스 내재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가 독자적인 AI 경쟁력을 강화하기보다 글로벌 빅테크의 기술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기술력을 키우면 AI 주도권 상실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김 회장은 카카오와 오픈AI의 협력 과정에서 국내 데이터 주권의 침해를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AI 모델은 데이터에 의해 성능이 결정되므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더욱 정교한 AI 모델을 만들기 위해 현지 데이터 확보 전략을 취한다”며 “카카오는 데이터 접근·활용에 대한 명확한 협약을 통해 국내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고, 단순한 데이터 공급자가 아닌 AI 생태계 주도자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이 단기적 기술 도입이 아닌, 장기적으로 국내 AI 생태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 카카오가 자체 AI 역량 강화를 병행하고 상호 이익을 위한 명확한 협약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김 회장은 △자체적인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병행 △자체적인 AI 훈련 데이터와 서비스 최적화 능력 축적 △기술 도입의 조건과 데이터 관리 방식에 대한 명확한 협약 △국내 데이터가 해외 AI 모델 학습에 직접 활용되지 않도록 제한 △카카오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AI 생태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조항 △글로벌 AI 기업의 데이터 활용을 규제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등과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김 회장은 카카오와 오픈AI의 협력 외에도 빅테크와의 협력에 있어 국내 기업이 ‘종속’이 아닌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전략적 협력인지를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빅테크와의 협력이 불가피할 수 있지만, 그 협력 방식이 중요하다"며 "단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도입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자체적인 AI 역량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슬예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