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내란 척결" vs 송언석 "'정치보복 없다'는 DJ 정신 되새겨야"
우원식 의장 "다시는 민주주의 역행 못하도록 제도적 기틀 세우겠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여야 지도부는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식에 나란히 참석했지만 악수는커녕 인사조차 하지 않은 채 냉랭한 모습을 이어갔다. 앞서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식에서도 여야 지도부는 나란히 앉았지만 눈길도 마주치지 않았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 전 대통령이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다"며 완전한 내란 척결 강조했다. 반면 송언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통합의 리더십을 언급하며 "여당이 야당을 말살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각기 다른 목소리를 냈다.
김 전 대통령 추모식은 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진행됐다. 행사에는 정 대표와 송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정 대표는 추모사에서 "1980년 광주가 2024년 12·3 내란을 몰아냈다"며 "국민주권주의는 정치적 수사가 아니다. 이미 우리 국토 곳곳 거리와 식당에서 피어나 있다. 누가 완전한 내란 종식 없이 이 사태를 얼버무릴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신이 제게 남겨준 기대와 책임감을 절대 내려놓지 않겠다"며 "오늘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 세력 척결과 같은 말이라고 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김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 했던 '정치보복은 없다'는 약속을 대통령 재임 중에도 지켰다"며 "이러한 리더십이야말로 오늘날 정치권이 반드시 되새겨야 할 가장 귀중한 유산"이라고 받아쳤다.
그는 "특히나 집권당이 야당을 대화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 유사 이래 처음으로 야당 당사를 침입해 500만 당원 명부를 탈취하는, 개인정보 탈취를 하는 현실 앞에 김 전 대통령의 포용과 관용의 정치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보수와 진보, 여와 야를 넘어 국민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야말로 지금 우리 정치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책무"라며 "국익과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통합의 미래로 나아가는 정치를 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추모위원장을 맡은 우 의장은 "역경 속에서도 국민을 믿고 역사의 발전을 낙관했던 대통령의 강인한 정신을 이어가겠다"며 "다시는 민주주의가 역행 하지 못하도록 제도적 기틀을 단단히 세우고 국민의 삶을 향상하는 정치로 민주주의를 증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