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브라이미지 측정 지표와 치유농업

2025-07-17

[전남인터넷신문]바이브라이미지는 기존의 설문지 기반 심리 평가와 달리, 비침습적이고 즉각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치유농업에서 치유효과를 정량적으로 치유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브라이미지 기술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많다. 우선 스트레스 지수(Stress Index)는 교감신경계의 흥분 상태를 반영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긴장과 스트레스가 심한 상태이며, 치유농업 참여 후 이 수치가 낮아진다면 이완과 정서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내적 균형도(Internal Balance)는 자율신경계의 균형 상태를 보여주며, 수치가 높을수록 심리적 평온과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공격성 수준(Aggression Level)은 분노나 충동성을 나타낸다. 심리적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은 이 수치가 높게 나타나지만, 치유농업을 통해 정서가 안정되면 이 수치가 눈에 띄게 감소한다.

에너지 지수(Energy Level)는 생리적 활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너무 높으면 불안 상태, 너무 낮으면 무기력이나 우울과 연결된다. 적절한 범위의 에너지 유지가 건강한 정서 상태의 핵심이며, 농업 활동 전후의 비교를 통해 피험자의 활력 회복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긴장 지수(Tension Index)는 근육 긴장이나 불안 반응과 관련된다. 이완 요법이나 치유농업 활동 후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해 효과 판별에 유용한 지표다. 감정 안정성 지수(Stability Index)는 정서 기복의 정도를 수치화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감정이 안정되고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신경증 지수(Neuroticism Index)는 불안, 우울, 불만족 상태를 나타내며, 높을수록 심리 상담이나 치유가 필요한 상태로 간주된다. 이 지표는 청소년이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설계 시 사전 스크리닝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흥분성 지수(Excitability Index)는 외부 자극에 대한 정서적 민감도를 나타내며, 수치가 지나치게 높으면 과민 반응, 낮으면 정서 둔감 상태로 평가된다.

흥미로운 지표 중 하나는 감정 스펙트럼(Emotional Spectrum)이다. 이는 기쁨, 분노, 슬픔, 불안 등 7가지 기본 감정의 분포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이 과도하게 치우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여 전에는 슬픔이 우세했던 대상자가 참여 후 기쁨과 평온이 증가했다면, 해당 활동의 긍정적 정서 효과를 명확히 입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동 활성도(Activity Index)와 피로도 지수(Fatigue Index)는 활동 의지와 생리적 탈진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신체적 피로와 정서적 소진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고령자나 만성 피로를 겪는 대상자의 경우, 치유농업 활동 전후 변화 양상을 통해 회복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바이브라이미지는 주관적 설문이나 인터뷰 중심의 정성 평가를 보완하며, 객관적 생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유농업의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할 수 있다. 정서 표현이 어려운 대상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 다양한 지표를 통해 정서·생리적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치유농업의 과학적 기반 마련과 공공성 확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김현주. 2025. 치유농업에서 바이브라이미지의 측정과 분석법.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 칼럼(2025.6.25.).

김현주. 2025. 치유농업 효과의 정량화와 바이브라이미지 활용.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 칼럼(2025.6.20.).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