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손해보험이 후순위채 콜옵션(조기상환권) 행사를 연기하면서 자본건전성이 낮은 보험사 중심으로 후순위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업계는 보험사 후순위채 및 신종자본증권 발행 여건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11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 제8회 후순위채는 최근 민평금리보다 높은 수준에서 거래됐다. 해당 채권은 지난 2일 가격이 1만120.8원이었지만 9일에는 9900.8원으로 하락했다. 9일 기준 민평금리 대비 최대 73bp(1bp=0.01%포인트) 높게 거래됐다.
롯데손보는 당초 8일로 예정됐던 콜옵션 행사를 하루 전날 연기했고, 이 과정에서 금융감독원과 마찰을 빚었다. 회사 측은 콜옵션을 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시장 불안은 해소되지 않았다.
이후 푸본현대생명과 KDB생명 등 K-ICS 비율이 150%대 초반인 보험사의 후순위채에서도 유통금리가 상승했다. '푸본현대생명 20(후)'는 7일 민평금리보다 79bp, 8일에는 92.2bp 높게 거래됐다. 'KDB생명보험 12(후)'도 2일에는 민평금리보다 0.1bp 높은 수준이었으나, 8일에는 39.8bp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지난해 말 기준 K-ICS 비율은 푸본현대생명 157.3%, KDB생명 158.24%로, 당국 권고치인 150%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롯데손보 역시 154.59%로 유사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