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동해안 산불 복원 아직 진행중”
“피해 광범위해 묘목 구하는 작업조차 난항 예상”
“인공 조림보다는 자연에 맡겨야” 견해도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낸 ‘영남지역 대형산불’로 타버린 산림 생태계를 복구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1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31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불이 발생한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에서 수목의 생장과 외형적인 모습은 이전의 70~80% 수준으로 회복된다. 다만 산림 토양, 서식 동물 등 전반적인 산림의 생태계는 20년이 지나도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다.
이번 산불 피해 지역은 오는 6월 전까지 토사 유출로 인한 산사태를 막기 위한 응급 복원 작업이 우선 시행된다. 이후 자연 회복력 등을 고려한 항구 복원 작업이 진행된다.
산림청은 조만간 구체적인 복구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피해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응급복구와 연내복구, 항구복구로 구분한 복구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긴급 진단 결과를 해당 지자체에 공유해 지역별 세부 피해조사와 복구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산불로 인한 산림 복원은 조림과 자연 복원 방식으로 이뤄진다. 통상적으로 입지 특성과 산주(山主)의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면적 2만3000여㏊)은 조림복원 51%, 자연복원 49%, 2023년 울진·삼척 산불(1만6300여㏊)은 조림복원 49%, 자연복원 51% 등의 방식으로 복원 중이다.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올해 산불은 이전에 발생했던 산불과는 달리 면적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복원을 위한 묘목을 구하는 작업조차 어려울 수 있어 조림과 자연 중 어떠한 방식으로 복원이 진행될 지는 예상하기 어렵다”며 “규모가 막대한 만큼 황폐해진 산불피해지가 산림의 형태를 갖추는 데에는 최소 30~40년 이상, 생태적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최소 1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인공적인 조림을 통한 복원보다는 자연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최병성 초록별생명평화연구소장은 “벌목하는 방식의 조림복원을 한다면 100년 이상이 소요될 수도 있지만, 자연복원으로 관리한다면 100년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며 “최근 2023년 발생한 강릉·동해 산불 현장을 둘러보니, 참나무가 4m60㎝까지 자라는 등 어떤 방식으로 복원하느냐에 따라 복원 시기는 크게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